선글라스, 1~2년마다 바꿔야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날씨가 따뜻해지면서 야외활동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가족과 연인이 나들이하는 모습을 자주 본다. 이때 평소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 선크림을 바르듯, 항상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 좋다.

자외선은 파장의 길이에 따라 자외선 A, B, C로 구분된다. 그중에서 자외선 C가 가장 강력하지만 대기의 오존층에 모두 흡수되므로 우리 눈에까지 닿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러나 나머지 자외선 A, B는 우리의 각막과 수정체를 통과해 망막까지도 도달할 수 있다. 요즘은 오존층의 파괴로 자외선에 의한 눈이나 피부 건강의 위험성이 커졌으므로 더 주의해야 한다.

박영순 안과전문의

박영순 안과전문의

우리 눈에 침투한 자외선은 활성산소를 생성해 눈의 피로를 촉진하며 각막 손상, 노안, 백내장 등 각종 안질환의 원인이 된다. 특히 백내장은 장시간의 자외선 노출로 인해 3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 발생하기도 한다. 전 세계 백내장 환자의 20%는 자외선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연구 결과도 있으며,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자외선을 1급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선글라스 선택 시에는 자외선을 99% 이상 차단할 수 있는 ‘UV400’ 인증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렌즈의 농도는 75~80% 정도가 적당한데, 선글라스 알을 통해 눈의 동공이 보이는 정도라고 보면 된다. 자외선 차단(UV) 코팅은 투명하기 때문에 선글라스의 색상이나 농도와 상관이 없다.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라면 굳이 진한 렌즈의 선글라스를 고를 필요가 없다.

다만 자외선 차단 코팅은 스크래치와 열, 땀 등에 벗겨지기 쉽다. 오래된 제품일수록 자외선 차단율이 떨어진다. 선글라스 코팅의 평균 수명은 1~2년 정도이므로, 주기적으로 교체하면 좋다. 선글라스 착용한 후에는 렌즈를 깨끗하게 닦아 서늘한 곳에 보관하면 좀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눈에 들어오는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해서는 선글라스 착용이 필수적이다. 일반 안경도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백내장이 걱정되는 사람은 작은 안경보다 큰 안경을 쓰는 것이 이롭다. 챙이 넓은 모자를 쓰거나, 손으로 눈 부위에 대주는 등 조금이라도 자외선이 눈에 들어오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야외에 나갈 때는 항상 선글라스를 착용하도록 하자.

<박영순 압구정 아이러브안과 대표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