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복잡해진 세상의 ‘스케일 전략’

<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제이미 헌트·홍경탁 옮김·어크로스·1만7000원

[신간]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흔히 ‘스케일이 크다’는 말을 쓴다. ‘일이나 계획 따위의 틀이나 범위가 커졌다’는 의미다. SF 블록버스터 영화나 제작비를 대거 투입한 드라마에 빗대 스케일이 큰 작품이라고 한다. 도시와 산업의 확장으로 세상의 스케일도 커졌다. 저자는 스케일이 바뀌면 문제도 바뀐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의 시대에는 데이터를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팔 것인지 규정하는 경제규칙이 생겼다. 데이터를 모아 수익을 올리는 구글과 같은 기업이 등장했다.

스케일이 변화하면 ‘문제’도 복잡해진다. 관리와 예측 가능한 부분이 예상 불가능한 영역으로 변했다고 저자는 말한다. 스케일이 바뀌고 거대해지면서 사회 문제도 복잡하게 얽히게 됐다. 문제의 원인을 쉽게 특정할 수 없고, 이 때문에 제시된 해결책은 쉽게 작동하지 않는다. 저자는 우리가 스케일의 복잡성에 압도되지 않을 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낼 수 있다고 말한다.

▲로마의 운명 | 카일 하퍼 지음·부희령 옮김·더봄·2만5000원

[신간]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로마제국의 부흥과 쇠퇴를 자연과학의 관점에서 다뤘다. 기존 해석이 사회구조와 정치 현상에 초점을 맞췄다면, 저자는 기후변화와 감염병이라는 변수를 들었다. 로마제국의 붕괴는 자연과학적 현상과 재앙으로 촉진됐다는 게 저자의 주장이다. 도시화된 제국은 병원체가 진화하고 전파하기 쉬운 구조였다. 저자는 로마제국의 몰락을 “인간의 야심을 무너뜨린 자연의 승리”로 평가한다. 고고학, 인류학, 생물학, 병리학, 기후학 등 여러 학문이 주장의 근거로 쓰였다.

▲불펜의 시간 | 김유원 지음·한겨레출판·1만3800원

[신간]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다큐멘터리 연출가 김유원의 장편소설. 한겨레문학상의 스물여섯 번째 수상작이기도 하다. 경쟁에서 실패하고도 제각기 삶을 살아가는 전·현직 야구선수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경쟁에서 밀렸지만 ‘자신만의 리그’를 꾸려가며 실패를 관리하는 이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편집자의 세계 | 고정기 지음·페이퍼로드·1만8000원

[신간]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미국을 대표하는 편집자 15명을 소개했다. 어떻게 출판·잡지계에 입문했고, 어떤 스타작가를 키워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예나 지금이나 편집자가 하는 일은 비슷하다는 점도 읽다 보면 알 수 있다.

▲내일의 도시를 생각해 | 최성용 지음·북트리거·1만6500원

[신간]스케일이 전복된 세계 外

방음벽, 콘크리트 땅처럼 도시 공간을 구성하는 구조물과 장소를 답사해 관찰한 변화를 쉬운 언어로 풀어냈다. 도시가 직면한 보행권, 에너지 생산 등 핵심 이슈를 폭넓고 꼼꼼하게 다뤘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