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질주> 급커브 미끄러지는 ‘관성 드리프트’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분노의 질주> 시리즈는 레이싱 영화의 대표작이다. 잘빠진 스포츠카들이 야수 같은 굉음을 내뱉으며 질주하는 스트리트 레이싱 대결은 다른 영화에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다. 하지만 2001년 시작된 <분노의 질주> 시리즈는 2019년 <홉스&쇼>까지 18년간 이어오면서 색깔이 변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레이싱보다는 액션이나 SF가 더 도드라진다는 것이다. 그래서일까 <분노의 질주> 마니아들은 스트리트 레이싱이 주를 이뤘던 초기 작품들에 대한 향수가 있다.

영화 <분노의 질주: 도쿄 드리프트>는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반항적인 기질의 주인공이 길거리 레이싱에 빠져들면서 생기는 일을 소재로 했다. / 위키피디아

영화 <분노의 질주: 도쿄 드리프트>는 시리즈의 세 번째 영화로, 반항적인 기질의 주인공이 길거리 레이싱에 빠져들면서 생기는 일을 소재로 했다. / 위키피디아

저스틴 린 감독이 메가폰을 잡은 <분노의 질주: 도쿄 드리프트>는 시리즈 초기 레이싱 영화의 철학을 제대로 담고 있는 작품이다. 반항기 가득한 션은 스트리트 레이싱 마니아다. 무모한 대결 끝에 사고를 치기 일쑤다. 세 번째 사고로 구속될 위기에 처하자 아버지가 있는 일본 도쿄로 전학을 간다. 하지만 도쿄에서는 드리프트 레이싱이 한창 유행하고 있다. 드리프트란 차량이 초고속으로 급커브를 돌 때 옆으로 미끄러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 같은 현상이 벌어지는 것은 차가 직진하려는 관성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일본에서는 ‘관성 드리프트’라고도 부른다. 영어권에서는 스칸디나비안 플릭, 혹은 펜듈럼 턴이라고 부른다. 빙판길 레이스 때 주로 사용되던 기술로 급커브 구간을 속도를 줄이지 않고 통과하기 때문에 레이싱에서 상대방 차를 따라잡을 좋은 기회가 된다. 1960년대부터 스칸디나비아 출신의 드라이버들이 레이싱경기에서 이 기술을 대중화시킨 것으로 알려져 있다.

드리프트는 1990년대 초반 ‘JDM(Japanese Domestic Market) 열풍’이 불던 일본에서 크게 유행했다. JDM이란 일본 내수시장을 의미하는 용어로 일본 내 판매만을 고려해 제작된 차량을 말한다. 하지만 1990년대 자산 버블기 일본에서 차량 튜닝바람이 크게 불면서 JDM은 일본의 튜닝카를 의미하는 단어로 바뀌었다. 저스틴 린 감독이 드리프트 레이싱의 무대를 도쿄로 잡은 것은 이 같은 배경이 있다. 관성은 자연의 법칙이지만 사회과학에도 적용된다. 사람들의 행동이나 생각도 그동안 해오던 것을 유지하려는 습성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인플레이션 관성’이 있다. 과거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실제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한다. 과거 인플레이션이 이 정도였으니 미래도 이 정도 수준일 것이라고 기대하고, 그러다 보면 현실의 경제에서도 그 정도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나타난다는 의미다. 때문에 자기실현적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몇 년간 인플레이션이 2%대였으니 내년에도 그 범주가 될 것으로 생각해 내년 임금이나 제품·서비스 판매가격을 2% 수준에서 올리면 사회 전반적으로 2% 수준의 인플레이션이 발생한다.

경제학에서는 이 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적응적 기대 가설’로 설명한다. 적응적 기대 가설이란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예상오차를 조금씩 수정해 미래를 예측하는 것으로 1960년대 통화주의학파들이 주장했다. 경제 주체들은 사용 가능한 모든 정보를 이용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린다는 1930년대 고전학파의 ‘합리적 기대 가설’과 상반된 이론이다.

션은 야쿠자를 뒷배로 둔 ‘DK(드리프트 킹)’와 얽힌다. 다들 DK를 피하라고 조언하지만 돌진하던 관성이 있어 되돌리기는 이미 늦었다. 야쿠자 소굴을 찾아간 션은 위기를 탈출할 어떤 기술을 갖고 있는 것일까.

<박병률 경제부 기자 mypark@kyunghyang.com>

영화 속 경제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