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법의 숲 악성코드인 ‘트로이의 목마’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디즈니는 고전동화를 각색해 현대동화로 바꾸는 마법을 갖고 있다. 크리스 벅 감독의 <겨울왕국 2>에서는 원작인 한스 안데르센의 <눈의 여왕>의 자취를 더 이상 찾아보기 힘들다. <겨울왕국 2>는 6년 만에 나온 <겨울왕국>의 시퀄(속편)이다.

<겨울왕국 2>는 뮤지컬 판타지 영화로 엘사의 힘의 기원을 찾고, 아렌델을 위기로부터 구하기 위해 엘사와 안나가 마법의 숲으로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다./위키피디아

<겨울왕국 2>는 뮤지컬 판타지 영화로 엘사의 힘의 기원을 찾고, 아렌델을 위기로부터 구하기 위해 엘사와 안나가 마법의 숲으로 모험을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다./위키피디아

아렌델 왕국의 여왕이 된 엘사는 어느 날 환청을 듣는다. 마법의 숲이 자신을 부르는 소리다. 바람·불·물·땅의 정령들은 아렌델 왕국을 위협한다. 트롤이 전해준 해법은 마법의 숲으로 들어가 과거의 진실을 찾아야 한다는 것. 마법의 숲은 과거 할아버지였던 선왕이 노덜드라 부족과 평화협정을 맺은 장소다. 하지만 어쩐 일인지 두 민족은 칼을 겨눴고, 할아버지는 죽고 엘사의 아버지만 간신히 살아 돌아왔다. 두 민족의 싸움에 화가 난 정령들은 숲을 안개로 덮어버렸고 34년간 누구도 들어갈 수 없는 장소가 됐다.

아렌델 왕국과 노덜드라 부족 간 갈등에는 댐이 있었다. 아렌델 왕국은 노덜드라 부족에게 평화의 상징으로 큰 댐을 지어줬다. 겉으로는 ‘큰 선물’이라고 했지만 실제로는 아니었다. 숲의 마법을 따르는 노덜드라 부족이 언젠가 왕권을 위협할 것으로 우려한 엘사 할아버지의 계략이었다. 댐은 숲과 물을 죽이고, 노덜드라의 힘을 약하게 하는 데 효과가 있었다.

아렌델 왕국이 지어준 댐을 사이버세계에 빗대면 악성코드인 ‘트로이의 목마’와 닮았다. 이 악성코드는 정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위장해 램에 상주하며 해커가 공격할 때 시스템 내부 정보가 빠져나가도록 방화벽을 열어주는 역할을 한다. 마치 트로이전쟁에서 그리스인들이 군사를 숨겨 트로이 성안으로 보낸 뒤 한밤에 빠져나와 성문을 열어주는 데 이용했던 트로이목마와 닮았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트로이의 목마 악성코드는 웹하드, e메일의 첨부파일, P2P, 프리웨어, 불법복제프로그램 등을 통해 사용자의 컴퓨터에 숨어든다. 사용자가 e메일에 첨부된 파일을 클릭하거나 링크를 클릭하는 순간 프로그램이 실행돼 사용자의 컴퓨터를 좀비PC로 만든다. 컴퓨터바이러스가 아니어서 타 컴퓨터로 전파하는 능력은 없지만, 시스템 어딘가에 숨겨진 감염파일을 통해 지워도 지워도 다시 설치되는 끈끈한 생명력을 자랑한다. 개인정보가 유출되고 PC가 느려지고 시스템이 파괴되는 피해가 계속되다가 전체를 포맷해야 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아렌델 왕국이 지어준 댐의 역할이 딱 그랬다. 물길이 가로막히면서 물과 숲의 생명체들이 죽어갔고, 이 때문에 마법의 숲의 힘도 급속도로 약해졌다. 그대로 두었더라면 노덜드라 부족은 빠르게 힘이 빠져 아렌델 왕의 지배를 받게 될 수도 있었다.

트로이의 목마 개념이 처음 제시된 것은 1974년 미 공군의 취약점 분석리포트에서다. 이 개념을 처음으로 구현한 것은 세계 최초의 시판용 컴퓨터인 유니박(UNIVAC)에 포함된 게임 ‘애니멀(Animal)’이었다. 악의적인 형태의 트로이의 목마는 1980년대에 본격적으로 등장했다.

트로이목마 감염을 막기 위해서는 출처가 모호한 e메일 첨부파일이나 소프트웨어는 내려받아서는 안 된다. 또 배너도 함부로 클릭해서는 안 된다. 공짜를 미끼로 잘 접근한다는 점에서 무료 소프트웨어도 조심해야 한다.

진실을 알게 된 엘사의 동생, 안나는 숲에 심어둔 트로이의 목마(댐)를 제거하려 한다. 문제는 ‘어떻게?’다. 연약해 보이던 안나의 대모험이 시작된다.

<박병률 경제부 기자 mypark@kyunghyang.com>

영화 속 경제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