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추워질수록 오십견 늘어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건강설계]날씨 추워질수록 오십견 늘어

일교차가 크고 날씨가 추워질수록 노인들에겐 반갑지 않은 손님이 찾아온다. 유착성관절낭염, 이른바 오십견이다. 남성보다는 여성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데, 흔히 50세 전후의 나이에 많이 나타난다고 해서 오십견이다. 봄철인 3~4월에 자주 발생한다고 알려졌지만 추운 날씨에도 오십견 환자는 증가한다. 날씨 탓에 혈관이 좁아지고 근육이 수축됨에도 평소처럼 어깨, 팔 등을 무리하게 사용하기 때문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조사한 2013년 월별 현황에 따르면 겨울철 환자는 약 108만명으로, 가을철 약 98만명보다 10만명가량 많다.

오십견이 생기면 양팔을 뒤로 해서 마주잡기가 어렵다. 어깨관절이 잘 돌아가지 않아 심한 경우에는 혼자서 머리를 빗거나 상의를 입고 벗기조차 힘들다. 또 팔을 들어올리면 일정한 각도에서 갑자기 어깨가 바늘로 찌르는 듯 쿡쿡 쑤시고 아프거나 뻐근하게 어깨 전체가 아프기도 한다.

오십견을 치료하기 위해 한방에서는 혈액 속에 습담(濕痰)을 제거한다. 습담이란 체액이 습열을 받아 가래처럼 변한 것이다. 습담이 혈액과 함께 순환하다가 혈액들을 엉키게 해 어깨 근육의 혈관 벽에 붙어버리면 혈액순환이 잘되지 않아 통증을 유발한다. 습담을 제거하고 관절과 연골을 강화시켜 주는 한약재를 환자의 병증에 맞게 선택해 치료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동작침법’은 어깨를 움직일 수조차 없는 중증 통증 환자에게 효과적이다.

다음 치료단계로 통증을 없애주고 관절을 부드럽게 해주는 ‘신바로약침’과 봉침이 있다. 어깨관절 통증은 근육과 인대 등 그 연부조직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 때문이다. 어깨관절 주위의 중요한 경혈과 통증이 심한 부위에 봉약침치료를 하면 염증이 제거돼 통증이 가라앉는 것은 물론이고, 근육이 이완돼 기혈 순환이 원활해지는 등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오십견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견관절 부위 근육이 뭉치지 않도록 스트레칭을 통해 풀어주는 것이 좋다. 수건 등을 이용해 팔을 뒤로 돌려 들어올리거나 지속적으로 팔을 앞으로 혹은 옆으로 들어올리는 스트레칭을 해주면 좋다.

<노원자생한방병원 오항태 병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