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통과 비슷한 ‘삼차신경통’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건강설계]치통과 비슷한 ‘삼차신경통’

얼굴을 칼로 찌르는 것 같고, 번개가 치는 것처럼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는 ‘삼차신경통’은 흔히 치통으로 오인하기 쉬운 통증이다. 삼차신경통이 이처럼 치통으로 오인하기 쉬운 이유는 삼차신경통의 95% 이상이 위턱신경이나 아래턱신경 부위에서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삼차신경통 환자들은 대수롭지 않게 치통쯤으로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 만약 치통과 관련된 치료(발치, 신경치료)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계속 지속된다면 이는 삼차신경통임을 의심해 보아야 한다.

삼차신경통은 다소 희귀한 질환처럼 느껴지지만, 생각보다 많은 환자에게서 발병하고 있다. 또한 통증이 없는 무통기 기간이 수 주에서 수 개월 정도 지속되기 때문에 삼차신경통이라 여기지 않고, 그냥 일시적인 통증으로 여기는 경우도 많다. 삼차신경통을 진단하기 위해선 우선 삼차신경에 대해 정확히 알 필요가 있다. 삼차신경이란 뇌에서 나오는 감각신경을 말하며 눈신경(1지), 위턱신경(2지), 아래턱신경(3지)으로 나누어진다. 그리고 이 부위에 통증이 생겨서 얼굴 부위에 발작적인 통증이 1초에서 2분간 매우 짧게 발생하는 통증을 ‘삼차신경통’이라 부른다. 삼차신경통은 주로 입 주위나 잇몸 근처, 눈 주위와 같이 삼차신경이 분포된 부위 주변에서 발생하며 세수, 양치, 면도와 같이 가벼운 접촉에 의해 통증이 발생한다.

삼차신경통을 치료하는 방법은 일반 진통제가 아니라 항경련제(테크레톨)를 사용해야 통증이 줄어드는 것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삼차신경통을 오래 방치할수록 약물효과가 떨어지고 각종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약물로 통증이 조절되지 않을 경우에는 초음파를 통해 신경줄기에 국소마취제를 주사하는 치료를 하면 통증이 조절될 수 있다.

또 삼차신경통이 재발할 때는 고주파 열응고술이 도움이 되는데, 고주파 열응고술은 영상증강장치로 삼차신경근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 바늘을 삽입한 뒤, 삼차신경 내에 전극을 위치시켜 고주파로 통증과 관련된 감각신경만을 응고시키는 시술이다. 이렇게 시술을 하면 통증신호가 뇌로 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마취통증의학과의원 문동언 원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