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 수술 대신 신경주사요법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흔히 허리 질환은 중년, 노년층에서 발생하는 병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 장시간 컴퓨터를 사용하는 직장인, 하루 종일 책상에 앉아있는 수험생, 과격한 스포츠를 즐기는 20~30대 젊은이들 사이에 허리 디스크 등 허리 질환 발병률이 높아지는 추세다. 

척추 뼈 사이사이에는 몸의 하중과 충격을 흡수하는 물렁한 ‘디스크’(추간판)가 있다. 디스크가 충격이나 퇴행성 변화로 정상적 위치를 탈출하면, 이것이 척수의 신경근을 압박해 통증이 발생한다. 이것이 허리 디스크(추간판탈출증)다.

허리 디스크는 무거운 물건을 들어올리거나 척추의 움직임이 심한 운동을 했을 때, 혹은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갑작스럽게 자세 변경을 했을 때 발생한다. 세수나 기침을 하다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허리 디스크 환자들은 허리뿐 아니라 엉치, 다리, 발 등에서 저리고 아픈 증상을 느낀다. 허리를 숙이거나 앉아 있을 때 고통을 느끼게 되고, 기침이나 배변 시 심한 통증을 느낄 수도 있다. 누워서 쉬면 증상이 완화되지만 일어나서 활동을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 많은 불편함이 초래된다.

과거에는 경미한 디스크도 수술을 했지만 최근에는 위험 부담이 큰 수술 대신 일상생활을 유지하면서 치료할 수 있는 신경주사요법이 도입됐다. 신경주사요법은 크게 신경성형술과 신경차단술이 있다. 신경성형술은 증상을 일으키는 신경 주위에 카테터라는 특수바늘을 넣은 뒤 염증을 줄이는 약물을 주입하는 시술로 아픈 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신경차단술은 척추신경, 말초신경, 뇌신경 등에 국소마취제 또는 염증을 감소시키는 약을 투여하여 예민해진 신경을 정상으로 돌아오게 하는 치료법이다.

[건강설계]척추 수술 대신 신경주사요법

신경주사요법은 허리디스크뿐만 아니라 척추관이 퇴행성으로 좁아져 신경을 압박해 통증을 유발하는 척추관협착증 환자와 허리를 삐끗한 요통 환자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하지만 주사만으로 모든 통증을 잠재울 순 없다. 통증의 재발을 막으려면 허리근력을 키우는 운동치료를 병행해야 한다. 근력이 강해지면 근육이 외부의 충격을 막아주고, 디스크까지 전달되지 않는다. 평소 수영, 걷기와 같은 운동을 열심히 해 근력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김보람 <연세사랑병원 척추센터 소장>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