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후 무릎 통증, 참지 마세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건강설계]운동 후 무릎 통증, 참지 마세요

운동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봄이 되면 무릎부상으로 내원하는 환자분도 늘어난다. 통증과 함께 무릎이 잘 펴지지 않거나 잘 구부러지지 않는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럴 경우 ‘반월상 연골판 파열’이나 ‘박리성 골연골염’ 등을 의심할 수 있다.

허벅지 뼈와 정강이 뼈 사이를 잇는 반월상 연골판은 무릎에만 있는 조직으로, 충격을 흡수할 뿐 아니라 연골의 접촉면을 넓혀 관절을 잘 움직이게 해준다. 스포츠 외상이나 사고 등으로 큰 충격을 받게 되면 반월상 연골판이 찢어지는데, 찢어진 연골판 조각이 관절 사이에 껴서 통증과 함께 무릎이 굽혀지지도 펴지지도 않는 잠김 현상이 나타난다.

초기 증상은 무릎의 힘이 빠지는 느낌과 함께 쪼그려 앉았다가 일어날 때나 몸의 방향을 갑자기 돌릴 때 가벼운 통증이 느껴지는 정도다. 하지만 치료를 받지 않고 방치하면 심한 통증이 생기고 걷기조차 힘들어지며, 무릎이 제대로 펴지지 않는 단계로 이어진다.

한 번 찢어진 연골판은 재생되지 않고 계속 찢어지기 때문에 조기 진단과 치료가 중요하다. 반월상 연골은 손상 정도에 따라 관절내시경을 통한 봉합술이나 절제술, 연골판 이식술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반월상 연골판이 50% 이상 손상되어 봉합이 어려워지는 경우에 연골판 이식술을 시행한다. 손상된 연골판 대신 타인의 연골판을 이식하는 수술방식으로, 자신의 연골과 같은 연골판을 이식하므로 거부반응이 거의 없고, 이식 후에도 자연스럽게 무릎 조직에 붙는다.

‘박리성 골연골염’도 무릎 잠김 현상이 나타나는 대표적인 무릎 질환이다. 연골 아래 뼈가 부분적으로 괴사해 연골이 떨어져 나가는 질환으로, 무릎에 지속적 외상이 가해져 연골을 지탱하는 뼈(연골하골)에 미세한 골절들이 축적돼 생긴다. 주로 과격한 운동을 장기간 계속했을 때 발생하기 쉽다. 박리성 골연골염이 생기면 ‘사각사각’ 소리가 나는 경우도 있고 무릎 안에서 뭔가 떠돌아다니는 느낌이 들며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기 힘든 증상이 나타난다. 심해지면 떨어져 나간 연골 조각이 정상적인 연골까지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증상이 나타나면 무엇보다 전문의의 진료와 정확한 검사로 문제를 파악해야 한다.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이원희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