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협착증 풍선확장술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건강설계]척추관협착증 풍선확장술

노화로 인한 척추 관절 질환 중 가장 급격히 늘어나는 질환은 척추관협착증을 꼽을 수 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국내 척추관협착증 질환자는 2008년 64만명에서 2012년 114만명으로, 연평균 15.6%씩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척추관협착증은 척추 뼈 뒤로 척추신경이 지나가는 통로인 척추관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좁아지면서 신경을 눌러 통증이 나타나는 퇴행성 질환이다. 증상이 악화될수록 좁아진 척추관의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앞으로 허리를 굽히게 되며, 오래 걷거나 허리를 뒤로 젖히면 통증이 심해지는 특징을 띤다.

척추관협착증의 치료는 증상의 경중에 따라 단계별로 달라진다. 초기에는 대부분 운동치료나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보존적 치료가 시행되나 이를 통해 증상이 나아지지 않거나 증상이 악화될 경우 비수술적 치료법을 고민해볼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의 대표적인 비수술치료법은 신경성형술을 들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기존 신경성형술을 한 단계 발전시킨 풍선확장술이 많이 사용된다. 꼬리뼈를 통해 관을 삽입해 좁아진 척추관의 병변 부위에 도달해 약물을 도포하는 기존 신경성형술에 비해 풍선확장술은 삽입하는 관 끝에 실리콘 등을 이용해 만든 풍선을 달아 이를 확장시켜 좁아진 척추관을 넓힌 다음 약물을 주입해 근본적인 통증의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풍선확장술은 보건복지부로부터 시술에 대한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증받은 신의료기술로, 중증의 척추관협착증과 추간공협착으로 인한 하지 통증 및 보행장애환자, 기존 신경성형술로 통증의 완화가 미비한 중증협착증 환자들에게 탁월한 효과가 있다.

시술에 사용되는 관(카테터)은 직경 2㎜ 정도로 얇기 때문에 시술 후 흉터가 남지 않을 뿐만 아니라 국소마취로 시술이 이루어져 혈압, 당뇨, 심장병 등의 만성질환을 앓는 고령환자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 시술시간도 20~30분 내외로 짧아 빠른 일상복귀가 가능하다. 얇은 관을 병변부위까지 정확히 삽입해 막힌 신경관 통로를 넓혀주는 섬세한 작업이 동반되기 때문에 경험이 많은 의사에게 시술 받아야 통증 개선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바른세상병원 척추센터 박성준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