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십대에 웬 오십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건강설계]삼십대에 웬 오십견?

어깨질환의 대명사로 알려진 ‘오십견’은 병명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50대에서 발병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어깨관절을 감싸고 있는 관절낭이 오그라들어 생겨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도 하고, 어깨가 얼어버린 것처럼 굳는 느낌을 받기도 해 ‘동결견’이라고도 부른다.

하지만 어깨가 아파 병원을 찾는 환자들을 살펴보면 의외로 30대가 많다. 오십견이라 불리던 어깨 질환이 젊은 환자들에게서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무래도 젊은 환자들의 라이프스타일, 그 중에서도 PC와 스마트폰 사용시간이 늘어난다는 점을 이유로 들고 싶다.

젊은 환자들의 특징은 어깨에 통증이 느껴져도 일시적 현상으로 치부해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30대도 어깨가 무겁고 뻐근한 증상이 1주 이상 지속되고, 팔을 들어올리는 것이 불편하다면 오십견을 의심해야 한다. 오십견은 자연회복이 나타나지 않거나 훨씬 더 긴 시간에 걸쳐 치유되기 때문에 까다로운 어깨 질환이다. 또 병이 깊어질수록 치료과정도 길고 복잡해진다.

오십견이 생기면 밤에 통증이 심하고 누워 있는 자세에서 불편함을 크게 느낀다. 어깨의 운동 범위가 제한되어 옆에서 팔을 들어올릴 수 있게 도와줘도 팔이 잘 올라가지 않는다. 여성분들의 경우 브래지어를 뒤로 착용하는 게 힘들어지고, 남성분들의 경우 뒷주머니에 지갑을 넣는 행동이 불편해진다.

오십견은 어깨관절의 운동 범위와 근력을 측정해 진단한다. 필요에 따라 방사선이나 관절경 검사, 자기공명영상(MRI)을 시행해 어깨 관절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통증이 적은 초기에 치료하면 비교적 손쉽게 해결할 수 있다. 초기에는 진통소염제, 물리치료, 운동이나 주사, 도수 치료로 증상이 완화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비수술 치료로 통증이 나아지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 치료를 진행한다. 관절내시경 치료는 절개 없이 작은 구멍에 내시경을 넣은 후 줄어든 관절막을 이완시켜주고 염증 부위를 없앤다. 흉터가 작고 주위 조직 손상이 적어 회복이 빠른 것이 장점이다. 단, 치료 과정에서 통증이 줄어들었거나 팔을 움직이는 것이 전보다 수월해져 치료를 중단하면 재발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재활치료까지 확실하게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바른세상병원 관절센터 송동익 원장(정형외과 전문의)>

건강설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