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동 평전 外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분권과 균형의 ‘첫 아나키스트’

<프루동 평전> 조지 우드코크 지음·하승우 옮김·한티재·2만4000원

[신간]프루동 평전 外

‘아나키스트’란 말이 경멸어린 표현이었던 시절, 처음으로 떳떳하게 아나키스트임을 자처한 사람. 통념에 도전하는 “소유는 도둑질”이라는 전복적인 주장으로 당대 사회주의 세력 중 한축을 이뤄낸 사람. 피에르 조제프 프루동의 삶을 그의 주장과 함께 돌아보며 평가한 책이다. 19세기 프랑스를 중심으로 영향을 미친 그의 초기 아나키즘 이론은 제1인터내셔널에서 마르크스를 주축으로 한 소위 ‘과학적 사회주의’에 맞서는 일파를 형성했다. 마르크스주의처럼 ‘교조’를 두기를 거부한다는 점, 그리고 마르크스주의 진영으로부터 ‘몽상적’이라는 폄하를 줄곧 받아온 점 때문에 아직도 아나키즘에는 오해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그래서 근현대 아나키즘 계보의 가장 윗선에 자리 잡은 프루동 역시 생애와 사상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했다.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평생 자신과 가족을 위해 일하는 삶을 살았던 프루동은 생활을 자기 힘으로 영위하면서도 사회와 시대에 대한 관심을 놓지 않았다. 그는 조직의 중앙 핵심부에 권력을 집중해야 한다는 원칙 대신 힘의 분산과 상호균형의 원칙을 바탕으로 한 연방주의 원리를 확립해 기계적인 평등보다 역동적인 균형을 강조했다. 이렇게 다져진 그의 사상은 오랫동안 아나키즘이 다른 여러 사회주의 사상과 구분되는 독특한 분권적·자율적 특성을 보이고 실현하게 하는 원동력이 됐다. 책은 프루동이 이와 같은 사상을 벼려낸 토양인 당대의 삶과 투쟁을 다루며, 특히 프랑스 대혁명에서 파리 코뮌으로 이어진 시기를 치열하게 살았던 그의 모습을 생생하게 기록했다. 또한 마르크스, 게르첸, 블랑키, 바쿠닌 같은 혁명가들의 삶도 책에서 함께 만날 수 있다.

▲사랑에 밑줄친 한국사 | 이영숙 지음·뿌리와이파리·1만8000원

[신간]프루동 평전 外

동아시아의 유교적 가치관 때문에 희생을 감수해야 했던 여성의 삶과 사랑에 대해 천착해온 저자가 삼국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역사를 ‘사랑’이란 주제로 읽어낸다. 시와 노래로 남은 연애사건 28건을 발굴해 당시의 시대와 문화를 직조하듯 그려낸다.

▲나의 까칠한 백수 할머니 | 이인 지음·한겨레출판·1만6000원

[신간]프루동 평전 外

마흔 살 작가인 손자가 코로나 시대를 맞아 느닷없이 백 살 할머니의 간병인이 돼 쓴 관찰기다. 세상 바깥에서 살고 있다고 믿던 작가가 자신보다 작고 약한 할머니를 돌보면서 발견한 할머니 100년 인생을 통해 기쁨과 유대를 만들어가는 이야기다.

▲밝은 밤 | 최은영 지음·문학동네·1만4500원

[신간]프루동 평전 外

증조모부터 할머니, 어머니, 나로 이어지는 4대의 삶을 비추는 장편소설이다. 증조모에게서 차례로 이어지는 이야기와 반대로 ‘나’에게서 출발해 증조모로 향하며 쓰이는 이야기가 서로를 넘나들며 서서히 그 간격을 메워간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