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특집

귀농을 꿈꾸는 이들에게 좋은 곳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지자체 11곳 귀농자 조례 마련… 사업보조비 등 재정지원 혜택

귀농학교가 개최한 ‘농촌취업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재배 농가를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다. <경향신문>

귀농학교가 개최한 ‘농촌취업박람회’에서 참가자들이 표고버섯 재배 농가를 방문해 설명을 듣고 있다. <경향신문>

은퇴 후 귀농을 꿈꾸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다. 2005년 10월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가 도시민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도시민 중 56.1%가 농어촌으로 이주할 의향이 있다고 밝혀 귀농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보여줬다. 하지만 정작 귀농을 실행하는 사람은 조사 결과에 비해 훨씬 적다. 불편함이 많기 때문이다. 귀농을 계획하는 이들은 귀농을 망설이게 하는 불편사항으로 ‘의료 시설 미비’ ‘교육 환경 열악’ ‘생활 편의 시설 부족’ 등을 꼽았다.

정부와 지자체는 농촌의 급격한 인구 감소와 고령화를 막기 위해 귀농을 계획하는 사람을 지원하는 제도와 여러 가지 혜택을 준비하고 있다. 또 귀농을 가로막는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2005년 정부는 농촌 생활환경과 교육·복지·문화 여건을 개선하는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 5개년 기본계획’을 수립했다. 또한 전남 강진을 시작으로 지자체들은 ‘귀농자 지원 조례’를 마련해 귀농하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주는 제도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2008년 9월 현재, 귀농자 지원 조례를 마련한 곳은 전북 고창, 전남 곡성, 전남 나주, 전북 무주, 충남 부여, 전북 순창, 경북 영양, 전북 장수, 전남 화순, 제주도로 모두 11곳이다.

상주 등 4곳엔 귀농지원센터
귀농을 계획한다면 지자체가 조례를 마련한 곳을 우선 선택하는 것이 좋다. 11곳의 지자체가 마련한 귀농자 지원 조례는 강진의 사례를 참고한 것이어서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전국귀농운동본부 안동균 간사는 “조례에 따르면 귀농한 사람들은 연령에 관계없이 이사비와 집 수리비, 귀농 교육비 정도의 혜택을 받는다”면서 “재정적인 지원도 좋지만, 무엇보다 조례가 제정된 지자체의 공무원들이 귀농인에게 논스톱으로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혜택”이라고 설명했다. 귀농 후 농사를 전문적으로 하는 귀농인에게는 최고 3000만 원 한도에서 사업보조비도 받을 수 있다.

선배 귀농인이 설립한 ‘귀농지원센터’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귀농학교를 졸업하고 귀농한 후 귀농을 계획하는 이들을 위해 마련한 센터다. 2008년 9월 현재 경북 상주, 충남 홍성, 전북 완주, 충북 괴산 4곳에 설치되어 있다.

경북 상주에 있는 제1호 귀농지원센터는 귀농학교 출신의 이명학씨가 만든 곳으로 귀농을 계획한 이들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도와주고 있다. 풀무학교, 풀무생협, 오리농법 등으로 널리 알려진 충남 홍성은 귀농 1번지로 유명하다. 이곳에 2호 귀농지원센터가 마련되어 있는데, 귀농학교 출신의 이환의씨가 맡고 있다. 전북 완주에는 부안에서 농사를 짓다가 완주로 이주한 송광섭씨가 3호 귀농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면 단위 동네에서 보기 힘든 ‘친환경 농산물 직판장’까지 갖추고 있다. 정기적인 귀농자 모임이 꾸준히 지속되는 대표적인 곳은 충북 괴산이다. 이곳에는 차광주씨가 운영하는 4호 귀농지원센터가 마련되어 있다. 괴산은 귀농자 모임이 군 전체를 관할하고 면 단위별로 연락책이 있을 정도로 귀농자 모임이 활발히 운영되는 지역이다.

귀농을 계획한다면 ‘귀농자 지원 조례’가 마련된 곳이나 귀농학교 출신의 귀농인이 운영하고 있는 귀농지원센터가 설치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귀농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얻으려면 전국귀농운동본부(02-2281-4611, www.refarm.org)의 도움을 받으면 된다.

<최영진 기자 cyj@kyunghyang.com>

관련기사

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