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공연장은 잔디구장과 같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대중음악 전문공연장에 대한 음악인들의 열망은 축구 선수들이 천연 잔디구장에 목매는 것과 같다.
극장에 최적화된 음향과 조명, 악기만 갖다 놓으면 바로 공연이 가능하도록 완전히 갖추어진 무대, 거기에 영상장비, 충분한 전기와 진행시스템이 갖추어진 공연장을 얼마나 꿈꾸어왔는지 모른다.

언제쯤 제대로 된 전문공연장이 생길까 고대하였는데 이번에 드디어 2000석 규모의 전문공연장 ‘AX’가 개관했다는 소식을 들었다. 새 공연장은 일본에 있는 대중음악 전문 공연장 ‘AX-japan’과 같은 스펙(제원)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200~300석 소규모 극장과 3000석 이상의 클래식 전문공연장, 그리고 5000석 이상의 체육시설로 나뉘어 있는 우리나라 공연장 현실에서 이정도 규모의 대중음악 공연장이 생긴 것은 참으로 적절하다는 생각이다.

음향, 조명, 전기, 무대 등 기본적인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다는 것 역시 다행스러운 일이다.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공연장에는 외부장비팀 없이는 자체 공연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높은 제작비용과 작업시간이 늘 고민스러웠다. 그러나 새 공연장은 이런 고민을 해결해주는 동시에 안정성 문제도 해결해주니 반갑지 않을 수 없다.

물론 전문공연장 하나 생겼다고 대중음악의 수준이 단박에 업그레이드되고 수준 높은 공연, 좋은 음악이 쏟아져 나오리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게 기대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는 ‘잔디구장 하나 만들어 주었으니 월드컵 16강 못 들면 죽는다’고 윽박지르는 것과 같다.

대중음악이 좀 더 다양하게, 그리고 발전적으로 우리 사회를 윤택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기 위해서는 이번에 지자체의 적극적인 후원으로 만들어진 ‘AX-Korea’처럼 전국 각지에 이런 대중음악 전문공연장이 몇 개 더 생겨나야 한다.

그리고 저렴한 대관료와 제작비로 공연을 만들 수 있도록 배려해야 하고 또 부담없는 비용으로 공연을 볼 수 있어야 한다. 제대로 만든 싸고 좋은 공연이 자꾸 생겨나면 비로소 우리 대중음악도 16강(?) 정도는 너끈히 올라갈 수 있는 저력이 생기게 될 것이다.

<공연기획자> tak0518@hanmail.net

탁현민의오프스테이지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