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슬오슬 추울 땐 배추뿌리차를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FOOD]오슬오슬 추울 땐 배추뿌리차를

숭, 숭채, 백숭, 백채 등으로도 불리는 배추가 우리 문헌에 처음 등장하는 것은 1417년에 간행된 ‘향약구급방(鄕藥救急方)’으로, 당시에는 채소가 아닌 약초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그 전통을 말해주듯 예부터 민간에서는 배추를 생활상비약으로 많이 활용했다. 화상을 입거나 생인손을 앓을 때는 배추를 데쳐서 상처 부위에 붙였고 옻독이 올라 가렵고 괴로울 때에는 배추의 흰 줄기를 찧어서 즙을 낸 다음 바르기도 했다.

배추는 무엇보다 감기를 물리치는 특효약으로 꼽힌다. 배추를 약간 말려서 뜨거운 물을 붓고 사흘쯤 두면 식초맛이 나는데 이것을 제수라고 한다. 제수는 가래를 없애주는 약효가 뛰어나 감기로 인한 기침과 가래 증상을 해소하는 데 아주 좋다는 것이다. 중국에서도 몸을 따뜻하게 해주는 채소로 알려져 배추 고갱이로 끓인 수프를 감기예방약으로 이용한다.

특히 배추뿌리차는 몸이 오슬오슬 춥고 머리가 아프면서 열이 날 때 마시면 아주 좋다. 우선 배추뿌리를 깨끗하게 씻어서 흑설탕과 생강을 함께 넣고 푹 끓여 음료 대신 수시로 마신다. 이때는 되도록 찬바람을 피해야 감기가 빨리 낫는다.

배추가 감기에 효과적인 이유는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비타민C 덕분이다. 배추 속에 농축되어 있는 비타민C는 열을 가하거나 소금에 절여도 잘 파괴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이밖에도 배추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로 작용하는 카로틴을 비롯해 칼슘, 식이섬유, 철분, 칼슘 등이 들어 있다. 배춧국을 끓였을 때 구수한 향미를 내는 것은 시스틴이라는 아미노산 성분 때문이다.

숙취와 변비로 고생할 때에는 배추 생즙을 내어 마시면 도움이 된다. 배추의 푸른 겉잎을 깨끗이 씻은 다음 적당한 크기로 썰어 주서기나 강판에 갈아 생즙을 내어 먹는데, 이때 레몬즙이나 꿀을 약간 떨어뜨려 마시면 한결 먹기 좋다.

조성태<한의사·경희대 동서의학대학원 겸임교수>

[요리법]콩가루 배춧국

■재료

[FOOD]오슬오슬 추울 땐 배추뿌리차를

■조리법

1. 풋배추를 깨끗이 씻어서 끓는 물에 데쳐 낸 뒤 찬물에 헹군다. 4㎝ 길이로 썰어 물기를 꼭 짜낸다.

2. 파·마늘은 깨끗이 다듬어 곱게 다진다.

3. 멸치는 내장을 빼내고 냄비에 담아 물을 붓고 끓여 국물을 우려낸 뒤 멸치는 건져내고 된장을 풀고 파·마늘 다진 것을 넣는다.

4. 데친 배추에 날콩가루를 뿌려 골고루 버무린 뒤 하나씩 떼어 준비된 육수에 넣고 끓인다.

5. 한소끔 끓어 오르면 불을 약하게 줄여 잠시 더 끓인다.




FOOD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