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흥사지 치미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 문화재청 제공

/ 문화재청 제공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는 최근 왕흥사터에서 발견된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치미(사진)를 복원해 공개했다. 치미는 전통 건축물의 용마루 끝에 설치하는 장식이다. 위엄을 높이고 귀신을 쫓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부여 왕흥사는 백제 위덕왕이 577년에 세운 절로, 2013∼2014년 발굴조사됐다. 고대 건물터에서 용마루 좌우 치미가 한꺼번에 발견된 것은 처음이다.

왕흥사지 치미는 남쪽과 북쪽에 각각 조각난 상태로 땅에 묻혀 있었으나, 3차원 입체영상 기술로 상·하부 전체를 복원했다. 왕흥사지 치미는 높이 123㎝·최대 너비 74㎝다. 전체적으로 꼬리를 세운 새가 비상하는 느낌을 준다. 몸통에는 연꽃·구름·초화무늬 등으로 장식됐고, 몸통과 깃 사이에 있는 긴 띠인 종대에 연꽃무늬 와당이 박혀 있다.

이번에 복원·공개된 왕흥사지 치미는 이 절이 창건된 시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문화재청은 양식과 문양으로 보아 경주 황룡사지 치미, 부여 부소산 폐사지 치미, 익산 미륵사지 치미보다 제작 시기가 앞서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치미로 판단하고 있다.

<원희복 선임기자 wonhb@kyunghyang.com>

교양 충전소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