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이란 무엇인가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공정’을 외치는 이들에게

벤 펜턴 지음·박정은 옮김·아이콤마·1만8000원

[신간]공정이란 무엇인가

전 세계적으로 ‘공정(公正)’이 화두임에 틀림없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외교와 무역에 있어 ‘공정관계’를 강조했다. 세계적인 축구 리그에는 공정한 판정을 위해 VAR(비디오판독)이 도입됐다. 윤석열 대통령의 집권 기치 역시 ‘공정과 상식’이다.

그렇다면 공정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일까. 저자는 인류에게 내재된 본성으로 ‘경쟁’과 ‘협력’을 꼽으며 이 둘 사이의 균형을 찾기 위해 ‘공정’이란 개념이 생겨났다고 파악한다. 이 같은 공정에 관한 공동의 합의를 바탕으로 법과 민주주의, 자본주의 등 인류의 발전이 이뤄졌다고 분석한다.

책에서는 공정의 원칙부터 시작해 신경학·심리학에서는 공정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는지, 인류 연사를 거치며 공정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발전돼 왔는지를 차근차근 살핀다. 단지 정치적 수사 개념에서 벗어나 비즈니스, 인간관계, 정부, 스포츠 등 사회 모든 영역에서 공정이 어떻게 적용되고 있으며 문제점이 무엇인지도 파헤친다. 이를 통해 오늘날 모든 문제의 궁극 질문이자 답변으로 ‘공정’에 왜 주목해야 하는지를 설명한다.

저자는 공정을 통해 인류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으로 권력집단을 꼽는다. 민주주의에서는 선거와 투표로 이들에게 권력이라는 ‘권리’를 부여했지만, 이들은 공정의 개념을 자신들을 위해서만 작동시킨다는 것이다. 예컨대 이 같은 정치 리더들이 권한을 통해 현실을 개선하고 바꾸려는 노력 자체는 공정하다. 하지만 이를 명목으로 그들이 가장 먼저 공격하는 대상이 만약 ‘자신들의 권력에 제약을 가하는 것’들이라면 이야말로 불공정의 시작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저자는 “공정한 사회에서 권한을 위임할 필요성은 인정해야 하지만, 권한을 버릴 필요는 없다”고 지적한다.

▲KBS 죽이기
정영주 외 지음·스리체어스·1만4000원

[신간]공정이란 무엇인가

진보나 보수를 가릴 것 없이 정권이 바뀌면 늘 KBS도 변한다. 최근 벌어지는 수신료 분리 징수와 이사장·사장 해임은 낯익은 풍경이다. 공영방송의 책임과 목표 재설정을 통해 어떻게 KBS를 고쳐써야 하는지 밝힌다.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5·6
유홍준 지음·눌와·2만6000원(제5권)·3만2000원(제6권)

[신간]공정이란 무엇인가

2010년 첫 출간 이후 많은 관심을 모은 유홍준의 한국미술사 강의 시리즈 완간이다. 제5권에서는 자유롭고 독특한 분청사기와 도자기의 ‘정수’로 불리는 조선백자를, 6권에서는 생활·장식 미술 등 조선시대 공예를 조명한다.

▲열정에 대하여
필립 피셔 지음·백준걸 옮김·앨피·2만원

[신간]공정이란 무엇인가

미국 문학계의 거목인 저자가 문학의 관점에서 철학을 비판한다. 서양 고대철학부터 근세철학, 현대 선택이론 등 다양한 철학과 사상을 통해 <일리아드>, <리어왕>, <로미오와 줄리엣>, <모비딕> 등의 작품을 재해석한다.

<송진식 기자 truejs@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