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프로젝트, 숨겨진 불확실성과 위험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비디오게임 ‘레드폴’의 포스터 / 아케인 스튜디오 제공

비디오게임 ‘레드폴’의 포스터 / 아케인 스튜디오 제공

대규모 프로젝트는 그 복잡성으로 인한 실패의 가능성을 안고 태어난다. 특히 참여하는 인원이 많고, 프로젝트의 이해관계가 복잡하며, 예상치 못한 변수가 많을 때 그 위험성은 더욱 높아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를 생각해보자. 대규모의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는 여러 개의 모듈과 기능이 상호작용하며, 다양한 개발자가 각자 맡은 부분을 작업하게 된다. 이렇게 복잡한 프로젝트에서는 각 모듈 간의 호환성 문제, 예상치 못한 버그, 팀원들 사이의 의사소통 문제, 작업의 병목 현상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런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을 경우 프로젝트는 지연되거나, 예산을 초과하거나, 최악의 경우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근래 들어 1000억원이 넘는 자금을 투자해 만든 대형 게임 소프트웨어, 소위 AAA(Triple-A) 게임들이 출시 후 여러 버그와 다양한 품질 문제로 논란이 됐다. 게임에서 발생하는 프레임 저하, 스터터링(버벅임) 등의 최적화 문제도 결국 품질 문제다. 스퀘어에닉스의 ‘포스포큰’, 크래프톤의 ‘칼리스토 프로토콜’, 아케인의 ‘레드폴’ 등이 출시 후 게이머들에게 혹평을 받았다. 초대형 기대작이었던 레드폴은 오픈크리틱에서 ‘평론가 추천’이 14%에 그쳤다. 스팀(Steam) 평가에서도 7월 기준 5점(만점은 10점)에 불과하다.

또 다른 예로는 건설 프로젝트를 들 수 있다. 대형 건설 프로젝트는 시공, 자재, 인력, 환경, 정책 등 다양한 변수를 동시에 관리해야 한다. 하지만 날씨와 같은 외부 요인, 예상치 못한 자재 비용의 상승, 인력 부족, 기술적 문제 등으로 프로젝트 일정이 늦어지거나 비용이 초과되는 사례가 많다.

이런 문제들이 누적될 경우 프로젝트가 커다란 곤란에 빠지거나 심지어 실패할 수도 있다. 광주 화정 아이파크 붕괴 사고, ‘순살자이’라는 멸칭을 탄생시킨 인천 검단 아파트 주차장 붕괴 사고는 하나의 사고를 넘어, 회사의 브랜드 이미지에까지 치명적인 손상을 가져왔다.

많은 프로젝트가 다양한 이유로 실패한다. 주요 실패 원인을 살펴보면, 무엇보다 불충분하거나 잘못된 계획이 프로젝트의 성공을 전반적으로 위협한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은 길을 제대로 알 수 없거나, 아예 길이 잘못 표시된 지도를 갖고서 위험한 지역으로 떠나는 여행이나 마찬가지다. 대규모 프로젝트는 본질적으로 불확실성과 위험이 가득한 여정과 같다.

프로젝트팀 내부 또는 팀과 이해관계자 간의 의사소통이 부족하면,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중대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모든 이해관계자가 같은 페이지에 있도록 해준다. 프로젝트의 실패는 리스크 관리의 실패이기도 하다. 모든 프로젝트에는 위험이 존재한다. 프로젝트의 위험 요소들을 미리 식별하고 관리하지 못하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적절한 대응이 불가능하다.

대규모 프로젝트는 다양한 변수와 복잡성으로 인해 실패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지만, 반대로 이를 잘 관리하고 위험을 최소화하면 성공적인 결과를 끌어낼 수 있다. 시장 환경에 따라 앞으로 프로젝트의 복잡성은 계속 증가할 수밖에 없다. 기업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는 프로젝트 관리 체계와 프로젝트 문화를 만들기 위해 깊이 있는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

<류한석 IT 칼럼니스트>

IT칼럼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