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사 2층 기자실은 왜 사라졌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검찰이 압수수색하러 쳐들어오고 있어요.” 민주당 당직자로부터 ‘긴급 취재요청 전화’를 받은 건 국회도서관 1층 커피숍에서 취재원을 만나고 있을 때였습니다. 맞은편에 앉아 있던 취재원이 휴대전화로 포털뉴스를 검색했습니다. “‘민주당사’로 검색해보니 최근 기사로 잡히는 건 지난주 기자님 기사밖에 없는데요.”

[취재 후]민주당사 2층 기자실은 왜 사라졌을까

매일 정치뉴스가 쏟아지지만, 여의도에 자리 잡은 민주당 중앙당사가 스포트라이트를 받을 일은 거의 없었습니다. 당원존 마련을 계기로 ‘당심이냐 민심이냐’와 같은 해묵은 논쟁을 되돌아봤습니다. 민주당 당원존은 중앙당사 2층에 마련돼 있습니다. ‘정당생활 20년차’라는 남영희 민주당 당원존 소통관장은 그곳이 과거 프레스룸, 그러니까 기자실이었다고 말했습니다. 지난 대선 기간에도 기자실로 사용되지 않았냐고 반문하면서. 확실히 2016년 민주당이 이 건물을 매입하면서 나온 기사들을 보면 2층은 기자실 용도로 사용할 것이며, “미디어친화적 정당이 되겠다”는 다짐이 나옵니다. 그런데 2016년 이후에 당사를 출입하면서도 2층에 마련돼 있다는 기자실을 이용해본 경험이 없습니다(주로 이용한 곳은 10층 옥상에 마련돼 있는 흡연공간이었습니다).

솔직히 2층에 프레스룸이 있었는지조차 잘 모르겠습니다. 당사를 출입하는 일반적인 행태는 입구 경비실에서 사전 약속 사실을 확인받은 뒤 오늘날의 민주당을 있게 한 김대중·노무현 두 전직 대통령의 흉상을 지나 엘리베이터를 타고 약속장소로 직행하는 형태였으니까요. 남 위원장에게 물었습니다. “기자실 대신 당원존을 만든 게 맞다면 기존에 기자실을 이용하던 사람들은 어떻게 해요?” 그는 “기자들은 국회 안 소통관을 이용하면 되지 않느냐”라며 “원외 위원장들도 기자회견을 할 때는 소통관에 가서 한다”고 답했습니다. 정당과 국민 사이의 소통을 매개하는 문자 그대로 ‘언론매체’ 없이 직접 소통을 강화한다는 건데 글쎄요. 2017년 이후 대부분을 집권당으로 보낸 민주당에서 “당론과 다르더라도 자기 소신을 밝히는 정치인이 드물어졌다”는 평가가 중첩되어 보이는 이유는 뭘까요.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10월 19일 검찰의 당사 압수수색 시도에 대해 “국정감사 기간에 야당 중앙당사 압수수색은 초유의 일”이라고 했습니다. 20일 의원총회에서는 “이 땅의 정치는 죽었다. 협치는 끝났다”고도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여의도가 정치적 격랑 속으로 휩쓸려 들어가는 형국입니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취재 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