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의 푸른 꿈을 펼치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여전히 코로나19의 그림자가 우리 곁을 배회하지만, 사회적 거리 두기 완화 이후 국내 영화제들은 부침 속에서도 각자의 전망을 찾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중 다큐멘터리 전문 영화제로 시작부터 정체성을 유지해온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이하 ‘EIDF’)도 19회를 맞아 지난 2년간의 시련을 뒤로하고 변화된 상황에 조응할 태세를 착착 준비 중이다.

제19회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포스터 / EBS

제19회 EBS국제다큐멘터리영화제 포스터 / EBS

팬데믹 이후 영화제들의 공통된 화두는 ①온라인 상영 활성화 모색 ②영화제 기간 외에 일상화된 상영 플랫폼 확보 ③사전제작 지원 확대 ④오프라인 행사 접근성 강화 등을 들 수 있다. 이런 모색은 코로나19가 아니라도 당면한 과제였지만 대(大)역병이 인류 역사에서 급진적 변화를 강제했듯이 영화제 또한 격랑을 겪은 셈이다. 2022년 EIDF는 이런 흐름을 온전히 수용하고 미래의 영화제 모델을 모색하는 대표적인 예시라 할 수 있다.

온라인 상영이 지난 몇년간 유행했지만, 영화제 실무자들은 ‘필름 페스티벌(Film Festival)’의 특성을 살리기 힘든 해당 방식의 한계점을 지적하고 있다. 그럼에도 오프라인 행사에 참여하기 힘든 제약을 어느 정도 해소하고, 다양한 비주류 영화 접근성을 제공하는 차원에서 온라인 상영의 의의는 부정하지 않는다. 이런 추세에서 EIDF는 고유한 인프라를 확보한 강점을 극대화하려 시도한다. EBS 교육방송 채널을 1주일간 가동해 여전히 일반 대중에게 가장 수월한 접근법, 지상파 TV로 다양한 주제의 미개봉영화 소개와 함께 자체 다큐 전문 OTT인 ‘D-box’ 스트리밍을 병행해 온라인 상영의 효용을 극대화한다. D-box 활용은 영화제 기간을 넘어선 상영 플랫폼으로 이어진다. 상영작 섭외단계부터 온라인 플랫폼과 연계한 기획을 통해 영화제 기간에 작품을 놓쳐 발만 동동 구르던 이들에게 2차 기회 제공은 만만찮은 기회다. 영화제에서 좋은 작품을 만난 이들이 주변에 소개하고 싶어도 못 했던 아쉬움도 일정 부분 해결됐다.

EIDF는 자체 콘텐츠 제작 활성화 또한 주목한다. ‘K-DOCS’라는 명칭으로 인더스트리 부문을 대폭 확장했다. 국내외 연관단위와 함께 기획-제작-편집 맞춤형 제작지원은 ‘피치 프로그램’으로 일체화했고, 신인·기존 창작역량 활성화를 위한 네트워킹과 아카데미 등 교육 프로그램도 확충했다. ‘영화제’가 국내에 처음 등장했던 1990년대 중후반에 전문가들이 주목했던 기능, 제작과 배급, 상영으로 이어지는 순환계 허브 기능의 21세기 버전 모색이다.

여기까지 들으면 ‘변화의 물결은 어쩔 수 없구나’ 아쉬워할 이들이 생길 법하다. EIDF 외에도 많은 영화제가 상대적으로 오프라인 이벤트를 축소해가는 느낌이 짙어서일 테다. 19회 EIDF는 극장상영과 야외상영을 이원화해 두 마리 토끼를 노린다. 8월 25(목)부터 28(일)까지 광화문 에무시네마의 오프라인 상영은 소규모지만 ‘다큐 토크’, ‘북 토크’, ‘스페셜 스크리닝’, ‘나이트 스크리닝’ 등으로 세분화해 맞춤형 세공이 돋보인다. 우크라이나와 중동, 이창동의 영화 세계 등 테마가 만만찮다. 여기에 8월 25일(목)부터 27일(토)까지 사흘간 펼치는 일산호수공원 야외상영이 축제성을 극대화한다. 전후좌우 물샐 틈 없이 영화축제를 권하는 주최 측의 자신감이 엿보인다(상세정보는 www.eidf.co.kr/kor).

<김상목 대구사회복지영화제 프로그래머>

방구석 극장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