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원은 탐정의 부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낙원이 된 세상에도 탐정이 필요할까

지난해 말 공개한 넷플릭스 드라마 <지옥>은 지옥의 사자가 사람들을 심판하는 초자연 현상에 의한 일대 혼란을 그려내며 세계적인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천사에게 죽음을 고지받은 사람들이 사자들에게 잔인하게 살해당하는 세계가 나온다. 신흥 종교단체 새진리회의 주장 그대로 이를 사람들이 신이 죄지은 이를 벌하기 위해 만들어낸 시스템으로 받아들이면서 작품 중반부터 세계는 새로운 법칙으로 재편된다. ‘죄를 지으면 죽는다’는 강력한 기제에 길든 세상은 초상현상(초능력이나 심령 현상 따위와 같이 일상 경험이나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는 현상)의 진실과 무관하게 위선으로 점철된 모습으로 나아가면서 쓴웃음을 자아낸다.

<낙원은 탐정의 부재> 표지 / 블루홀식스

<낙원은 탐정의 부재> 표지 / 블루홀식스

샤센도 유키의 <낙원은 탐정의 부재>도 이와 비슷한 신세계를 무대로 삼는다. 어느 날 갑자기 날개를 펴고 강림한 천사들이 죄인들을 단죄하기 시작한다. <지옥>과 마찬가지로 그 연유는 알 수 없지만, <지옥>과 달리 그 법칙만은 공고하다. 바로 사람을 2명 이상 살해한 자는 천사가 지옥불로 심판한다는 것. 2명째 살인하는 순간 천사에게 잔혹하게 불태워진다는 사실이 공표되면서 치솟던 범죄율은 그야말로 급전직하한다. 왜 하필 2명부터인지 의견이 분분했지만 도출한 결론은 간단했다. 이유야 어찌 됐든 첫 번째 살인은 “신이 용납한 살인”인 양 취급되면서 1명까지는 죽여도 된다는 풍조가 자리 잡았다. 이왕 죽일 바에는 가능한 한 많은 이들을 죽이겠다는 비뚤어진 이들이 생겨나면서 자살과 대량 살상을 전제한 폭파 사건도 빈번해졌다. 누군가는 낙원이라 말하지만, 세상 뒤편에는 여전히 살의가 들끓고 있다.

그렇다고 이 작품이 새로운 규칙으로 재구성된 세계의 모순에 집중하는 건 아니다. 천사의 등장으로 세상에서 거의 사장된 또 하나가 바로 연쇄살인이다. 연쇄살인범이 자취를 감추면서 탐정 아오기시는 명탐정이라 불리던 옛 영광을 뒤로한 채 현재는 고작 잃어버린 반려동물을 찾아주는 일로 연명 중이다. <낙원은 탐정의 부재>가 다루려는 것은 한마디로 명탐정이 필요 없어진 세계에서 일어난 기묘한 연쇄살인 사건이다. 유독 천사가 많이 몰려든 도코요지마섬, 화려한 저택, 이곳에 모인 기이한 손님들 그리고 이들을 한자리에 초대한 더더욱 기이한 주인. 여기에 유력 인사들의 모임으로 생각했던 사람들 간의 ‘숨겨진 관계(missing link)’와 며칠간 배가 끊긴 섬이라는 ‘닫힌 공간(closed circle)’까지. 우리 가운데 범인이 도사리고 있다는 본격 미스터리의 전형적인 무대를 마련했다.

<낙원은 탐정의 부재>는 ‘특수설정 미스터리’를 표방하지만 실은 본격 미스터리의 본질로 한없이 수렴하는 작품이다. 천사들이 각설탕에 반응하고, 살의와 무관히 벌어진 살인 역시 심판받는다는 또 다른 법칙을 고려한다면 진범의 악마적인 트릭 또한 명탐정에게 논파당하고 마는 결말을 기대해도 좋다. 더욱이 미스터리 장르에서만 의미를 가지는 탐정이란 다분히 가공의 직무에 아오기시의 당면한 고민과 의무를 차곡차곡 더해감으로써 목표한 바를 분명히 한다. 천사의 세계에서조차 여전히 탐정이 필요한 것처럼 미스터리 팬들에게도 명탐정이 가지는 고전적인 가치는 여전하다는 것. 추리소설의 존재 의미를 역설하는 듯한 태도와 흥미로운 수수께끼로 말미암아 본격 미스터리의 핵심에 밀착한 면면이 더더욱 도전적이고 신선하게 느껴지는 작품이다.

<강상준 대중문화 칼럼니스트>

장르물 전성시대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