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7호 “20대 국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들”外를 읽고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독자 댓글]1167호 “20대 국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들”外를 읽고

20대 국회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것들
젊은 피가 돌아야 건강한 나라가 된다. 똑똑함보다 현명함을 사랑해야 건강한 나라가 된다. 기성세대에서 흔히 말하는 이놈이나 저놈이나 똑같다는 논리에 빠지지 말고 양쪽을 다 살펴보고 현명함으로 판단하자. 이렇게 세월이 흘러 지금의 젊은 세대가 기성세대가 될 때, 국민을 겁내는 정치인들로 가득 메워질 때 나라가 잘 돌아간다. 천당과 지옥은 우리가 만든다. 꼭 바로 보고 주권 행사를 하자. _경향 ghktjd532

세월호, 메르스, 탄저균, 국정교과서, 위안부 협정 등 실정에 각종 세금 및 비용 인상, 경제 양극화 심화, 노동악법까지, 얼마나 더 국민들이 살기 어려워져야 합니까?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라도 많은 걸 바꿔야 합니다. 조금만 더 정치에 관심을 갖고 후보자가 누구인지 확인해야 합니다. 어떤 전과와 비리가 있는지, 어느 정책과 법률에 찬성 또는 반대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러한 작은 행동 하나하나가 우리나라를 변화시킬 수 있습니다. 민주주의는 국민 수준만큼의 정부를 갖게 합니다. _네이버 lawr****

필리버스터, 정치를 재발견하다
국회에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인터넷 의사중계시스템 사이트가 있어 들어가 보니 영상회의록에 국회에서 회의하는 모습을 생생히 볼 수 있네요. 저부터라도 국회 생중계를 틈나는 대로 보려고 합니다. 반짝 관심이 아니라 꾸준한 관심을 갖는다는 것을, 국민이 지켜보고 있다는 것을 국회의원들이 알게 된다면 더 열심히 일할 것이고, 열심히 일하는 국회의원들도 힘이 날 것입니다. 국민들은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활동상을 확인할 수도 있어서 선거에서 투표를 제대로 할 수 있을 것입니다. _경향 dusxks90

열광하는 이유는 단 하나 아닐까? 테러방지법은 인간이 인간을 감시하는 법이기에 인간의 존엄을 훼손하는 심대한 비민주의 시발점이니 말이다. 애써 안보와 테러를 팔아먹지 말라. _다음 푸른솔

이 순간을 얼마나 더 기다려야 할까
필리버스터는 중단되었지만 ‘인간의 존엄성’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일상 속에서든 정치 속에서든요. 그게 우리 자신을 지킬 수 있는 방법이며, 우리 사회에 꼭 필요한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어떤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자신을 다시 일으킬 수 있는 인간의 능력, 자신의 존엄성과 영혼을 끝내 지키고자 하는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인간의 근원적인 자유에서 희망을 가져봅니다. _경향 하얀 새

필리버스터를 보면서 이제야 야당다운 정치의 모습이 보이는구나 했는데 마무리가 너무 어이없이 종결되었네요. 모처럼 국민들이 정치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응집시켰는데 야당 의원들은 그것을 못 느꼈습니까? 마무리까지 의지 넘치는 행보를 보여줬다면 설사 실패했다 해도 실패로 기억되지 않았을 겁니다. 왜냐하면 민주주의는 결과보다 과정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_다음 웰컴이다

사이버테러방지법도 직권상정?
테러방지법 통과로 온 국민을 발가벗겨 놓은 것도 모자라서 사이버테러방지법으로 이제는 온 국민의 손발까지 꽁꽁 묶어두려고 하네요. 과연 그 끝이 어디인지 끝까지 가봐야겠어요. 자꾸 상처가 곪다보면 반드시 터질 날이 올 테니까. _경향 lugun

알림
<주간경향> 1167호 ‘표지이야기’ 방담 기사 소제목 ‘20대 국회에 도전하는 더불어민주당 박주삼·정의당 조성주·녹색당 이계삼’에서 ‘박주삼’은 박주민의 오기입니다. 박주민 변호사께 깊이 사과드립니다.

<주간경향> 1167호에 실린 ‘탁상행정의 표본 ’NCS교육과정’’ 기사에서 언급된 전파진흥협회가 개발을 담당한 문화예술분야는 학습모듈이 아니라 NCS 체계와 능력단위라고 학습모듈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교육부와 직무능력개발원이 알려왔습니다. 직무능력개발원은 “문화예술분야의 NCS학습모듈은 앞으로 개발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독자 댓글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