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만양병설은 조작됐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

이덕일 지음 | 역사의아침 | 1만5000원

[이주의 책]십만양병설은 조작됐다?

율곡 이이는 십만양병설을 주장한 적이 없다. 유성룡이 십만양병설을 반대했다는 것도 그러므로 성립할 수 없는 명제다. 십만양병설은 후대에 조작된 허구다.

역사학자 이덕일씨의 주장이다. 이씨는 <한국사 그들이 숨긴 진실>에서 십만양병설은 조선 시대 노론 문인들이 정파적 목적으로 날조한 이야기라고 말한다. 저자에 따르면 십만양병설의 원적지는 김장생의 <율곡행장>이다. 김장생은 구체적인 연대는 밝히지 않은 채 “경연에서 이이가 십만양병설을 주장했다”고 썼다. 그의 제자인 송시열은 한 발 더 나갔다. 송시열은 <율곡연보>에서 ‘선조16년’(1583)이라고 연대를 특정했다. 십만양병설이 사후 창작이라는 결정적인 증거는 이이의 시호에서 발견된다. <율곡연보>를 보면 유성룡은 이이를 ‘이문성’이라고 지칭한다. 그러나 이이가 ‘문성’이라는 시호를 받은 것은 죽은 뒤인 인조2년(1622)으로, 유성룡이 사망한 지 이미 17년이 지난 후다.

문제는 십만양병설이 허구라는 데 있지 않다. 진짜 문제는 “유성룡의 반대로 십만양병설이 무산된 것으로 서술돼 있다”는 점이다. 서인 출신 김장생과 송시열은 제 당파의 영수 이이가 주장한 십만양병설을 반대 당파인 남인 영수 유성룡이 반대했다고 서술했다. 저자는 “존재하지도 않았던 발언을 있던 것처럼 가정해 반대 당파의 영수를 공격하는 것은 전형적인 정치공작”이라고 말한다.

2007년도 개정판에서 바뀌기는 했지만 ‘노론이 중상주의 실학 사상을 주도했다’는 2007년 이전 국사 교과서의 서술도 사실과 다르다. 유형원, 이익, 정약용 등 중농주의 실학 사상을 주장한 이들은 당시 재야 세력인 남인들이었다. 게다가 중상주의 실학의 선구자라고 알려져 있는 유수원은 노론이 아니라 노론이 적대시했던 소론이다. 유수원은 노론에 의해 능지처참을 당해 죽은 인물이다. 개정판 교과서라고 해서 이 문제가 완전히 수정된 건 아니다. 중상주의 실학을 “노론이 주장했다”는 말은 빠졌지만 중농주의 실학을 “남인이 주장했다”는 사실마저 삭제됐다.

왜 이런 일들이 생긴 것일까. 저자는 “이 모든 것은 아직까지 노론 정체성을 지닌 학자들의 사고로 국사 교과서가 서술되고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들”이라고 말한다. 저자에 따르면 한국 주류 사학계를 관통하는 두 가지 사관은 일제 식민사관과 조선 후기 노론 사관으로, 이 두 사관은 ‘자기정체성 부인과 사대주의 극대화’라는 점에서 인식을 공유하고 인맥으로도 연결된다. 책은 이 두 사관이 역사 서술에 끼친 폐해를 앞에서 든 사례 이외에 ‘한사군 한반도설’, ‘삼국사기 초기기록 불신론’ 등에서도 찾아내 조목조목 반박한다.

독자의 구미를 잡아당기는 대목이 하나 더 있다. 책은 올해 초 ‘정조어찰첩’이 공개된 후 언론을 통해 알려진 ‘정조독살 사실 무근설’도 반박한다. 저자는 정조어찰첩을 근거로 정조가 독살됐을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것 또한 “소수 학벌 카르텔의 당파적 해석”이라고 본다.

독자들이 잊지 말아야 할 게 있다. 십만양병설이나 정조어찰첩에 대한 저자의 주장은 여전히 논쟁 중인 사안이다. 지적인 편식을 경계하는 독자들은 뉴스 검색창에서 역사학자 오항녕, 유봉학 한신대 교수, 안대회 성균관대 교수의 이름을 입력해보시길. 역사 해석의 다양성과 중층성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이주의 책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