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일할 사람이 사라진다

이철희 지음·위즈덤하우스·2만원

[신간] 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대한민국 완전히 망했네요.” 한국의 2022년 합계출산율(0.78)을 듣고 머리를 움켜쥔 조앤 윌리엄스 미국 캘리포니아대 법대 명예교수의 영상이 지난해 인터넷을 뜨겁게 달궜다. 윌리엄스 교수의 걱정대로 한국은 저출생과 고령화로 소멸위기를 맞을까. 서울대 국가미래전략원 인구클러스터장이자 인구경제학자인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는 이 책에서 인구 감소라는 미래는 정해져 있지만, 노동시장의 앞날은 우리가 하기 나름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통계에 근거해 인구 변화를 정교하게 분석하고 노동시장의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한다. 여성과 장년의 노동 참여를 더 활성화하고, 외국 인력을 적극적으로 유입하며, 새로운 기술과 장비를 도입해 노동생산성을 높이는 등의 방안이다. 이 교수는 한국 정부와 사회가 당장의 저출생 해소에 과도하게 초점을 맞추고 있다며 고령화 등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할 방안을 더 연구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그는 처음 쓰는 대중서에서 노동의 미래를 다뤘다. 이 주제야말로 인구 변화를 대비하는 핵심 열쇠라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영남 선비들, 정조를 울리다

이상호 지음·푸른역사·1만6500원

[신간] 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정조 재임 시기인 1792년 경상도 유생들이 주도한 ‘만인소’ 운동을 추적한다. 당시 유생 1만57명은 상소로 기득권인 노론의 오만불손함을 비판했다. 책은 유생들의 상경 과정, 상소문 마련 과정, 비용 등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국학진흥원 책임연구원인 저자는 만인소 운동의 원칙이 ‘자발적 참여’였다며 당시 정치적 의미와 함께 ‘제한된 환경에서 만든 민주주의 원형’이라는 현대적 의미를 부여한다. 이 상소 운동이 1823년 서얼 차별 철폐 상소와 1881년 척사만인소 등으로 이어졌다고 주장한다.

아무튼, 실험실

김현정 지음·코난북스·1만2000원

[신간] 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저자는 20여 년간 야생 벼의 유전정보를 연구한 유전육종학자다. 낯설지만 흥미로운 ‘벼 식물학자’의 실험실 세계를 이야기한다. 실수와 실패를 거듭하면서도 반복하는, 무언가를 ‘애정해본’ 사람만이 알 수 있는 마음에 관한 이야기다.

버블

조은오 지음·창비·1만4000원

[신간] 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버블’로 둘러싸인 독특한 세계를 배경으로 알을 깨고 나와 모험을 감행하는 주인공 ‘07’의 성장기를 그린 소설이다. 우리가 서로를 믿고 의심하고, 다투고 화해하며 진정으로 사랑하게 되기까지 ‘관계’의 의미를 되새긴다.

누가 나만큼 여자를 사랑하겠어

박주연 지음·오월의봄·1만7500원

[신간] 노동의 미래 위해 뭘 할 것인가

기자이자 퀴어 여성인 저자는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가 없던 시절부터 “퀴어 콘텐츠를 마구잡이로 먹어온 덕후”로서 숱한 영화와 드라마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찾아냈다. ‘가지각색의 여성들’이 등장하는 퀴어 영화·드라마 가이드북이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