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배원, ‘고립가구 고독사’ 예방 나선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한 집배원이 복지등기우편을 배달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한 집배원이 복지등기우편을 배달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제공

우정사업본부는 집배원이 사회적 고립가구를 주기적으로 방문해 안부를 확인하는 사업을 시작한다.

우정사업본부와 행정안전부 스마트복지안전공동체추진단은 지난 5월 20일 사회적 고립가구의 고독사 위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안부 살핌 우편서비스’ 시범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행안부는 앞서 공모를 통해 전국 지자체 중 시범사업 대상 15곳(서울 강남구, 부산 동래·사상·서·해운대구, 대구 동구, 울산 울주군, 충남 홍성군, 전북 남원시·장수군, 경북 고령·성주군, 경남 거창·고성·창녕군)을 선정했다.

해당 지자체는 중장년층 1인 가구, 고립청년, 조손가구 등 주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해야 하는 집중관리 대상자 2492명을 확정하고 종량제 봉투, 물티슈, 컵라면 등 생활용품을 준비했다. 장애인활동지원, 노인요양보험, 노인돌봄 대상자 등 공적 돌봄서비스 수혜자는 대상이 아니다.

집배원은 대상 가구에 1~4주 단위로 생필품을 전달하면서 위기 정보를 발견하면 지자체에 전달해 맞춤형 복지서비스가 지원되도록 한다. 올 연말까지 시범사업을 하고 성과를 분석해 사업을 전국으로 확대할 예정이다.

집배원이 가가호호를 방문해서 하는 복지 활동은 이뿐만이 아니다.

우정사업본부는 2022년 7월부터 시범 실시한 ‘복지등기우편 서비스’를 지난해 4월 전국으로 확대했다. 지자체가 복지 관련 안내문을 담은 등기우편물을 위기징후 가구나 독거가구 등에 월 1~2회 발송하는 서비스다.

집배원은 등기우편물을 배달하면서 해당 가구의 주거환경과 생활실태를 파악하고 체크리스트를 작성한다. 지자체는 체크리스트를 토대로 공공·민간 복지서비스를 연계한 지원을 한다. 지금까지 1만여 가구가 복지등기우편 서비스로 지자체의 기초생활수급자·차상위계층 신청 등을 할 수 있었다.

우정사업본부는 국가보훈부와 지난해 10월 업무협약을 맺고 보훈대상자를 위한 복지 활동도 하고 있다. 보훈부가 대상자를 선정해 제작한 우편물을 등기로 발송하면 집배원이 우편물을 배달하고 복지 실태를 조사하는 방식이다.

보훈부가 2015년부터 3년 단위로 보훈대상자의 생활과 복지 등을 조사하는 ‘국가보훈 대상자 실태조사’가 전체 대상자의 약 1.7%(1만여 가구)만을 표본으로 해 개인별 상황을 파악하기는 어렵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가스 안전 점검 활동도 있다. 도서지역에서 활동하는 배달원은 올 3월부터 LP가스를 주 연료로 사용하는 취약가구에 복지 정보 등이 담긴 등기우편물을 배달하면서 가스 사용 실태도 확인하고 있다. 고장 사실을 발견하면 가스안전공사에 전달해 현장 출동과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게 한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은 “우체국은 국민 곁에서 지역사회의 어려움을 살피고, 소외된 이웃을 보살필 것”이라며 “행안부, 지자체 등과 협력해 위기가구 발굴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유희곤 기자 hulk@kyunghyang.com>

우정 이야기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