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떼새 놀게, 강물아 흘러라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렌즈로 본 세상] 물떼새 놀게, 강물아 흘러라

전라북도 장수군 신무산의 뜬봉샘에서 흐르는 작은 물줄기는 충청남북도를 거치며 몸집을 키워 군산만을 통해 서해로 흘러간다. 한강, 낙동강, 영산강과 더불어 대한민국 4대강에 속하는 금강(錦江)이다.

비단처럼 곱게 흐르던 강물은 세종시에서 고인 물이 될 운명을 맞게 될 처지다. 세종보를 재가동해 담수하려는 정부의 계획 때문이다. 2018년, 그러니까 문재인 정부 때부터 세종보의 수문은 열린 채로 닫히지 않았다. 수위가 낮아지고 생태계가 살아났다는 평가가 있다. 2021년 국가물관리위원회의 세종보 철거 계획은 이를 뒷받침했을 터다. 하지만 윤석열 정부가 들어서면서 환경부가 재심의를 요청했다. 국토교통부가 아니라 환경부가 말이다. 세종보의 재가동이 절차를 밟고 있다. 강물과 달리 사람의 정책은 손바닥 뒤집듯이 쉽게 역전될 수 있나 보다.

세종보 재가동을 반대하는 활동가들의 천막농성장 바로 옆 한두리대교 교각에 그려진 벽화를 세계 생물다양성의 날인 지난 5월 22일 촬영했다. 보다시피 새와 물고기와 꽃 그리고 사람이 어우러진 그림이다. “물떼새야 우리가 지켜줄게”라는 문장도 적혀 있다. 세종보의 수문이 닫히면 하천의 모래톱과 자갈밭은 물에 잠긴다. 물떼새의 서식지가 사라진다는 이야기다.

<김창길 기자 cut@kyunghyang.com>

렌즈로 본 세상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