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트트랙에 ‘완벽한 공정’은 없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판정은 인간에 의존… 관점에 따라 해석 달라져

2022 베이징올림픽 관련 국내 최대 이슈는 쇼트트랙 편파판정 논란이었다. 초반 한국 선수들이 석연치 않은 판정으로 탈락한 반면, 중국은 판정에서 득을 보면서 반중 정서가 표출됐다. 중국이 그동안 벌여온 동북공정, 국내 거주 중국인에 대한 불만, 온라인게임 세상에서 중국이 벌여온 ‘추태’ 등이 쇼트트랙 편파판정 시비를 계기로 크게 비화했다. 쇼트트랙 종목에 대한 이해 부족도 반중 정서를 지나치게 키우는 데 일조했다.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오른쪽)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2월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경기에서 중국 리원룽(오른쪽 두 번째)이 앞으로 나오자 손으로 이를 피하려 하고 있다. / 연합뉴스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 황대헌(오른쪽)이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막 사흘째인 2월 7일 오후 중국 베이징 캐피탈 실내 경기장에서 열린 쇼트트랙 남자 1000m 준결승 경기에서 중국 리원룽(오른쪽 두 번째)이 앞으로 나오자 손으로 이를 피하려 하고 있다. / 연합뉴스

베이징올림픽 쇼트트랙에서 한국은 금메달 2개, 은메달 3개를 땄다. 금 2개는 최민정(성남시청)과 황대헌(강원도청)이 주종목 1500m에서 따냈다. 은 3개는 여자 1000m(최민정), 여자 3000m 계주, 남자 5000m 계주에서 나왔다. 한국 쇼트트랙은 평창올림픽에서 금 3개, 은 1개, 동 2개의 성과를 거뒀다. 베이징 성적도 괜찮은 편이다.

ISU의 이례적 심판 교체 편파판정 논란은 이준서(한국체대)와 황대헌이 출전한 남자 1000m 준결승에서 불거졌다. 이준서는 조 2위로 통과했지만 페널티를 받아 탈락했다. 심판은 이준서가 헝가리 선수와 접촉하는 과정에서 레인 변경 반칙을 범했다고 판정했다. 그 결과 우다징(중국)이 2위로 올라가 결승에 진출했다. 황대헌은 인코스를 노려 런쯔웨이, 리원룽 등 중국 선수 2명을 모두 제치며 선두 자리를 꿰찼고 1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심판은 황대헌이 1위 자리를 뺏는 과정에서 레인 변경을 늦게 했다며 페널티를 줬다. 대신 런쯔웨이와 리원룽이 결승에 갔다. 이준서의 탈락은 수용할 만했지만, 황대헌의 탈락은 이해하기 어려웠다. 한국은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 재심을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ISU는 “규정에 근거해 심판은 해당 항의를 받아들이지 않는다”며 “경기 규칙 위반에 따른 실격 여부에는 항의할 수 없다”고 못박았다. 어차피 안 되는 항의를 한국은 왜 했을까. 국내 여론을 진정시키는 동시에 잔여 경기를 앞두고 ISU를 압박하는 차원이었다. 선수들의 절박한 심정을 생각하면 어느 정도 이해할 만한 일이다.

중국이 더 노골적으로 판정에서 이득을 본 건 남자 계주 5000m였다. 중국 선수는 준결승에서 캐나다 선수와 스케이트 날이 부딪치면서 넘어지는 바람에 최하위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캐나다보다 약간 뒤에서 달리다가 넘어지고 말았다. 중국 탈락이 올바른 판정이었다. 심판은 그러나 중국에 어드밴스를 선언했고 중국은 결승에 진출했다. 심판은 캐나다에 실격을 선언하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가해자는 없는데 중국을 피해자라며 구제해준 꼴이다. 이후 ISU는 이례적으로 대회 도중 심판을 교체했다. 피터 워스(영국)에서 베아타 파다르(헝가리)로 심판이 바뀌었다. ISU는 “파다르가 코로나19와 관련된 이유로 베이징에 늦게 도착했다”며 심판 교체 이유를 설명했다. 워스가 중국에 유리한 판정을 반복해 논란이 이어지자 ISU가 심판을 교체할 수밖에 없었다는 해석도 있다.

쇼트트랙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쇼트트랙의 특징을 먼저 파악해야 한다. 쇼트트랙은 111.12m의 트랙에서 이뤄진다. 기본적으로 4명, 많게는 10명이 동시에 달린다. 기록이 아니라 순위 싸움이 중요하다. 선수 간 충돌이 불가피하다. 신경전도 날카롭고 전략·전술이 변화무쌍하며 변수도 무척 많다.

올림픽 종목 채택 후 계속되는 논란 쇼트트랙을 올림픽 종목으로 채택한 뒤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초기에는 미흡한 시스템 탓이었다. 이후에도 논란은 여전했다. 태생적으로 불가피한 몸싸움, 시시때때로 급박하게 변하는 전술·전략, 상대로 인해 당할 수도 있는 막대한 피해, 예상치 못한 변수로 발생하는 돌발상황 등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다른 종목의 변수들이 쇼트트랙에서는 승부를 결정하는 상수로 작동한다. “스케이팅 기량보다는 애매한 판정, 상대로부터 당하는 엉뚱한 피해, 심지어 신의 영역인 운까지도 승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이유로 쇼트트랙의 올림픽 퇴출을 요구하는 의견도 나온다. 일리가 있다. 사실 쇼트트랙만큼 기량 이외 변수가 승부를 크게 좌우하는 종목도 찾기 힘들다. 그런 점에서 “쇼트트랙은 ‘선수의 경기’가 아닌 ‘심판의 경기’다”, “쇼트트랙은 각본 있는 드라마인가”라는 비판은 수긍할 만한 부분이다.

쇼트트랙 판정은 전적으로 인간에 의존한다. 판정이 애매할 수 있고 관점에 따라 달리 해석할 수도 있다. 인간이 그만큼 불완전한 존재인 까닭이다. 인간이 내리는 판정이라 ‘보이지 않는 손’이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실제로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판정에서 득을 본 나라도 있고 실이 많은 나라도 있었다. 실이 많은 측이 득을 본 측을 비난하는 메커니즘을 매번 똑같이 되풀이했다. 개최국들이 어떤 식으로든 득을 본 것도 사실이다.

쇼트트랙은 순위 싸움이 중요하다. 한 나라에서 여러명이 함께 레이스를 벌일 수도 있다. 같은 나라 선수가 복수로 출전하면 작전을 짠다. 팀 전술은 쇼트트랙뿐만 아니라 스피드스케이팅, 마라톤, 사이클 등 다양한 종목에서 존재한다. 이걸 ‘짬짜미’로 오인하는 사람들이 많다. 팀 전술은 복수 선수를 출전시킨 나라가 반드시 활용하는 엄연한 전략이다. 같은 나라의 출전 선수 중 누군가 득을 본다면 다른 누군가는 손해를 감수해야 한다. 물론 팀 전술을 짜지 않고 복수의 선수들이 제각각 레이스를 펼칠 수도 있다. 감독의 판단이다. 팀 전술을 왜 쓰지 않았냐고 비판할 수는 없다.

항시 불완전할 수밖에 없는 판정 베이징올림픽 출전을 앞두고 한국이 쇼트트랙에서 세운 목표는 금메달 1~2개였다. 남녀 1500m를 금메달 가능 종목으로 봤다. 실제로 거기서 금 2개가 나왔다. 혼성계주는 변수가 많아 메달을 기대하기 힘들었다. 500m는 우리가 약한 종목이다. 1000m는 아쉽다. 황대헌이 편파판정 시비에 연루되지 않았다면 1000m 시상대에 올랐을지도 모른다.

편파판정 논란에도 쇼트트랙을 올림픽에서 퇴출할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거의 없다고 본다. 스피드스케이팅의 ‘지루함’을 해결할 수 있는 매력적인 빙상 종목이기 때문이다. 그러니 좀더 냉정하고 균형 잡힌 시각으로 쇼트트랙을 바라보자. 국수주의와 포퓰리즘에 호소하는 숱한 보도와 방송, 선수와 선배들 그리고 지도자의 감정적인 반응, 비전문가들이 숟가락 얹듯 내뱉는 자극적이고 원론적인 말들은 그러려니 하자. 쇼트트랙 판정은 항시 불완전할 수밖에 없다. 쇼트트랙 자체가 100% 공정하기는 어려운 경기다. 그걸 인정하고 한걸음 떨어지는 게 쇼트트랙을 객관적으로 보면서 동시에 즐길 수도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

<김세훈 스포츠부 기자 shkim@kyunghyang.com>

관련기사

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