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S25 홍보 포스터 제작자는 왜 손모양을 반복 사용했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정리하자면 내부조사를 통해 그런 의도가 없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신중하게 확인을 하지 못해 불편을 끼쳤고, 사회적 물의를 일으킨 것을 죄송하게 생각합니다.” 5월 4일 기자와 통화한 GS25를 운영하는 GS리테일 관계자의 말이다.

카카오톡 캡처

카카오톡 캡처

논란은 5월 1일 시작됐다. GS25 측이 카카오톡으로 자사의 5월 행사를 홍보하는 메시지를 보냈는데, 캠핑 행사 상품을 1개 구매하고 스탬프를 받으면 경품을 지급하는 이벤트였다. 문제는 포스터였다. ‘캠핑 가자’의 ‘가’자 위에 작은 ‘소시지’를 놓고, 손으로 그걸 집으려는 듯한 그래픽이 삽입됐다(사진). 이 손가락 모양의 그래픽이 지금은 폐쇄된 남성혐오사이트인 메갈리아 로고와 비슷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다. ‘손가락 모양이 뭐가 문제냐, 과민반응이 아니냐’는 반론이 있을 수 있겠다. 그런데 애초의 로고는 ‘대한민국 남성의 성기는 6.9㎝에 불과하다’는 비하적 의미를 담고 있다. 그러니까 저 손모양 이미지는 얼핏 봐서는 별문제 없지만, 뜻을 아는 사람들에게만 은밀히 전하는, 숨겨놓은 남성비하 코드라는 것이다. 과거 일베 사용자들이 교묘하게 일베 마크를 숨긴 고화질 로고 등을 업로드해 방송사 등을 낚시질한 것과 비슷한 종류의 악의적 장난 아니냐는 게 이 로고를 불편해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다.

어찌됐든 논란이 커지자 회사 측은 문제의 손그림을 삭제했다. 그런데 이번에는 ‘관악여성주의연구회’의 로고와 비슷한 초승달과 별문양을 새로 삽입했다는 의혹이 또 나왔다. 회사 측 설명에 따르면 새로 삽입된 것이 아니라 처음 작업 때부터 있었다. “애초 게시물을 보면 포스터 하단에 공지사항이 있지 않습니까. 그 내용으로 가려 안 보이던 것이 하단 부분을 빼니 노출된 것일 뿐입니다.” 회사 측으로부터 같이 제작된 다른 포스터를 받아보니 애초부터 초승달과 별문양이 있었던 것은 사실로 보인다.

3차에 걸친 회사의 사과문을 보면 디자인은 외주를 준 것이 아니라 내부에서 진행한 것이다. 논란이 된 손모양의 그래픽은? 회사 측은 2차 사과문에서 “논란이 됐던 이미지는 검증된 유료사이트에서 ‘힐링 캠핑’, ‘캠핑’이 키워드인 디자인 소스를 바탕으로 제작됐음을 확인했다”고 밝히고 있다. 그런데 회사 측이 손모양의 그래픽을 따왔다고 제시한 원본 이미지는 디자이너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3대 유료사이트에 해당 검색어로 검색해도 나오지 않았다. 어떻게 된 것일까. 5월 5일 문의해보니 해당 이미지를 받은 것으로 돼 있는 사이트는 위 3개 사이트 중 하나가 맞다. 회사 측은 “해당 회사 측에서도 본의 아니게 피해를 당할 수 있는 상황이 돼 사진을 내린 모양”이라고 답변을 했다. 그런데 이 손모양은 이번 논란의 포스터에만 사용된 것이 아니었다. 4월 23일 GS25 인스타그램 등에 게시된 ‘전화 한 통으로 생명을 구한 GS25스토어 매니저’ 이미지 편집물에도 동일한 손모양의 그래픽이 등장한다. 회사 측은 “여러 차례의 검증을 통해 다른 의도가 없었음을 확인했다”고 하지만 디자인 쪽에서 적어도 유료이미지 사이트에서 구입한 저 디자인 소스를 ‘원소스 멀티유즈’한 것은 사실로 보인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