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이야기

현실로 다가온 우주 자원화 경쟁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미국 우주군 참모총장 임명… 일본과 중국도 적극 나서

우주군을 창설한 미국 정부는 최근 우주군 참모총장을 임명했다. 일본의 탐사선 하야부사 2호가 소행선 토양 시료를 지구로 보내는 데 성공했고, 중국의 달 탐사선 창허 5호가 달 토양을 품고 귀환했다.

상상도 속에서 버진 갤럭틱의 우주선 ‘스페이스십 2’ 객실 밖으로 지구가 보인다. / Virgin Galactic

상상도 속에서 버진 갤럭틱의 우주선 ‘스페이스십 2’ 객실 밖으로 지구가 보인다. / Virgin Galactic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와 아마존의 카이퍼 프로젝트로 지구 저궤도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의 각축장이 되고 있다. 우주 공간을 떠다니며 쓰레기를 포집해 함께 낙하해 없애는 스타트업이 대규모 투자를 받기도 했다. 궤도보정 연료를 소진한 위성이 추락하지 않도록 연료를 공급하는 우주 주유소도 생길 예정이다. 우주여행도 실현된다. 버진 갤럭틱은 올해부터 6인승 유인 우주왕복선 ‘스페이스십 2’를 이용한 상업 우주여행을 시작한다. 지구와 우주의 경계선으로 불리는 고도 100㎞ 상공의 ‘카르만 라인(Karman line)’에 도달한 후 90분간 무중력 체험을 하고 돌아온다. 경비는 3억원이다. 저스틴 비버,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같은 유명인과 부호 등 600명이 계약했다.

먼저 발견한 나라가 주권 행사할까

미국은 ‘아르테미스’ 계획으로 달의 남극에 탐사선을 보낼 계획이고, 중국과 유럽도 비슷한 계획을 세우고 있다. 헬륨3과 같은 에너지원을 채굴하겠다는 목표가 있다. 유럽의 소국 룩셈부르크도 우주 자원 탐사에 적극 나서고 있다. 과감한 지원으로 각국의 우주 스타트업을 유치하고 있다. 우주 자원화를 위해 정부와 민간이 앞다퉈 우주로 진출하면서 국가 간 갈등이 생길 가능성도 있다. 제국주의 시대처럼 먼저 발견한 나라가 주권을 행사할 수 있을까.

이복직 서울대 항공우주공항과 교수는 “현재 유효한 우주조약에 따르면 여전히 우주는 전 지구적 공공재로 모든 국가가 우주를 탐험할 자유가 있으나, 소유권을 주장할 수는 없다”면서 “그러나 누군가 실제로 자원을 채취할 경우, 현실적으로 막을 방법과 법적 근거가 명확하게 있지 않기도 하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향후 우주탐사 비용이 줄고 수요가 증가할수록 우주 선진국 간에 갈등이 촉발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 경우 기존에 확보한 우주탐사의 권리가 상당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봤다. 한국도 달 탐사를 완수해야 국가 간 협상 테이블에 나설 자격을 얻을 것이라는 뜻이다.

군사안보 측면에서 우주의 중요성은 더 커졌다. 최정열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는 미국 방위고등연구계획국의 우주 태양광 건설과 ‘스타쉽’을 연결지었다. 스페이스X의 우주선 ‘스타쉽’은 100t 이상의 화물을 지구 저궤도로 보낼 수 있다. 이런 수송 능력을 이용해 지구 저궤도에 대규모 태양광 발전 설비를 만들 수 있다. “‘스타쉽’은 100번 재사용이 가능해 최대 1만t을 올릴 수 있다. 겉으론 화성에 간다고 하지만 대놓고 말하지 못하는 군사적 목적도 있을 것이다. 평화 시엔 레이저를 이용해 태양광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다 적국에서 탄도미사일이 발사되면 요격하는 이중 용도로 쓸 수 있다.” 우주 개발의 현 상황을 보면 영화 <스타워즈>에서처럼 ‘제독’이 우주전함을 끌지 않으리란 법도 없어 보인다.

<주영재 기자 jyj@kyunghyang.com>

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