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임상춘, 더 많이 배출되길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프로야구 LG트윈스의 팬이다. 매년 시즌이 끝나면 LG트윈스 팬들은 한 지붕 이웃인 두산 베어스의 선전을 배 아파하며 경기 이천의 2군 구장인 챔피언스파크를 서울에서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옮겨야 한다고 주장한다. ‘화수분 야구’라고 불리는 두산의 탄탄한 신인 육성시스템에 대한 부러움 때문이다.

KBS

KBS

뜬금없이 야구 얘기를 하는 것은 요즘 방송가의 화제인 KBS 2TV <동백꽃 필 무렵> 이야기를 하기 위해서다. 한때 케이블채널과 종합편성채널 드라마에 밀려 ‘애국가 시청률’을 전전했던 지상파 채널이 이 드라마의 선전으로 다시금 자존심을 챙길 수 있었다.

시청자들은 싱글맘 동백(공효진 분)과 시골청년 용식(강하늘 분)의 로맨스와 더불어 두 사람의 관계를 위협하는 연쇄살인범 까불이의 정체가 가장 큰 궁금증이다. 업계 관계자들 사이에서는 까불이만큼이나 대본을 집필하는 임상춘 작가의 정체가 궁금하다. 임상춘 작가는 30대 초반의 여성이라는 사실 외에는 알려진 게 없을 만큼 베일에 싸여 있다. 임상춘이란 이름도 필명이다. 덕분에 방송 취재기자들 사이에선 어느 매체가 임 작가와 먼저 인터뷰를 할지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올랐다.

임 작가의 대본은 쫀쫀한 흡입력과 빈틈없는 캐릭터 배치가 강점이다. 지난해 대본을 받은 공효진이 초반 스케줄 문제로 고사하다 뒷이야기가 궁금해져 대본을 보여달라고 할 정도다. 결국 공효진이 출연을 결심했고 군에서 제대한 강하늘이 합류하면서 지금의 라인업이 완성됐으니 드라마는 ‘작가 놀음’이라는 방송가의 속설이 어느 정도 들어맞은 셈이다.

임상춘 작가는 2013년 방송콘텐츠진흥재단의 <사막의 별똥별 찾기>에 당선되면서 방송가에 발을 디뎠다. 이후 KBS 2TV 4부작 단막극 <백희가 돌아왔다>를 통해 이름을 알렸고, <쌈, 마이웨이>로 안타를 날리다 <동백꽃 필 무렵>으로 대형 홈런을 쳤다. 야구로 치면 2군에서 두각을 드러내다 1군으로 발탁돼 존재감을 드러낸 셈이다.

단막극은 드라마 제작의 2군이다. 화수분처럼 업계의 새로운 인재를 키워낸다. JTBC 드라마 <SKY 캐슬>의 유현미 작가도 1992년 한국방송작가협회 교육원에서 신인상을 받은 뒤 KBS에서 약 20편의 단막극을 쓰며 필력을 단련했다. <비밀>의 유보라 작가도, <정도전>의 정현민 작가도 KBS 단막극을 거쳤다. PD나 배우에게도 단막극은 훈련의 장이다. <커피프린스 1호점>, <모두의 거짓말> 등을 연출한 이윤정 PD는 MBC 재직 시절이던 2005년, <태릉선수촌>으로 영화 같은 감성을 선사했다.

안타깝게도 지상파 3사 중 단막극을 방송하는 채널은 수신료로 운영되는 KBS뿐이다. KBS는 지난 10월 27일부터 12월 29일까지 총 10주에 걸쳐 <드라마 스페셜>을 매주 금요일 밤 11시에 내보내고 있다. 종합편성채널 JTBC도 하반기 단막극인 ‘드라마 페스타’로 <루왁인간>과 <안녕 드라큘라>를 선보인다. 아직 채 다듬어지지 않았지만 날것 같은 구성의 드라마를 보는 것은 색다른 재미다. 단막극을 통해 더 많은 임상춘·유현미가 탄생하길 기대해본다.

<조은별 브릿지경제 문화부 기자>

톡톡TV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