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다리에 극단적 선택 격려 메시지, 진짜 있었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그냥 진짜 하라고 도발하는 것 같은데?” 사진을 본 한 누리꾼 의견이다.

4월 중순, 한강다리 메시지 사진이 누리꾼의 화제를 모았다. ‘한 번 해봐요’라는 글씨가 다리 난간에 붙어 있다. 옆에는 한 소년이 웃는 그림이 그려져 있다. 화가 육심원씨의 작품인데, 보기에 따라서는 비웃는 것 같기도 하다. 그러니까 한강다리에서 뛰어내리라고 도발하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이다. 이튿날, 다른 문구와 사진이 연이어 올라왔다. ‘나는 할 수 있다’, ‘꼭 해내고야 말겠다.’ 여전히 비슷한 맥락이다. 정말 있는 걸까.

보배드림

보배드림

생명의 다리라는 사업이 있었다. 삼성생명과 서울시, 한국건강증진개발원 등이 펼치던 자살예방사업이다. 한강다리 난간을 따라 사람이 지나가면 ‘희망메시지’가 쓰인 안내판에 불이 들어온다. 역효과였다. 유명세로 더 많은 사람들이 한강다리로 모여들었다. 사업은 2016년 종료됐다. 조형물들은 철거되고 현재는 일부 문구들만 남아있는 형태로 서울시가 관리한다. 인터넷을 검색해보면 뒤에 ‘업데이트’된 두 문구를 발견할 수 있다. 뒤에 업데이트된 문구는 예전 ‘생명의 다리’ 사업 때의 것인데, 앞의 ‘한 번 해봐요’는 확인되지 않는다. 정말 누군가 자살자를 조롱하기 위해 붙인 것일까?

“아, 메시지는 임의로 만들었던 게 아닙니다. 사업을 할 때 공모를 받았지만, 다시 전문가들이 모여 신중하게 결정했던 문구인데요.” 서울시 관계자의 말이다.

기자가 메일로 보내준 해당 게시물을 확인한 뒤 서울시 관계자로부터 다시 연락이 왔다. “일부에서 마포대교라고 했는데 한강대교의 문구였고, 사진 문구는 스토리텔링 문구의 일부라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그에 따르면 두 번째, 세 번째 사진은 다음의 긴 문장에서 따온 것이다. “22년 동안 8000m의 히말라야를 38번 오르며 도전했던 것은 ‘나는 할 수 있다’ ‘꼭 해내고야 말겠다’ 그런 의지와 신념 때문이었습니다. 실패를 두려워 말고 자신감을 잃지 말고 꿈을 향해 거침없이 도전하시길 바랍니다.” 산악인 엄홍길씨의 말이다. 첫 번째 논란의 사진은? “고민 있어요? 자, 당신의 얘기 한 번 해봐요.” 위의 육심원씨가 그린 소년의 얼굴이 여전히 비웃는 것으로 보이는지. 웃자고 맥락에서 떼어내 올린 글이었을 텐데, 댓글이 176개나 달린 심각한 논란으로 이어졌다. 인터넷에서는 종종 일어나는 일이다.

<정용인 기자 inqbus@kyunghyang.com>

언더그라운드 넷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