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 이야기

북·미 정상회담에서 ‘결실’ 맺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미국 중간선거 이전 성사 가능성… 비핵화 성과 없으면 역풍 불 수도

지난 9박10일 동안 문재인 대통령은 평양과 워싱턴을 오가며 바쁜 일정을 소화했다. 성과는 적지 않다.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오는 10월 북한을 방문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비핵화 후속처리를 논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북정책에 날을 세우던 미국 여론도 조금씩 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쇠뿔도 단김에 빼야 한다”며 북·미 정상회담이 하루빨리 개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 연합뉴스

지난 6월 싱가포르에서 열린 첫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 연합뉴스

미국 시민참여센터의 김동석 상임이사에 따르면 최근 <뉴욕타임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 대해 ‘믿을 만한 사람으로 비춰진다’고 언급했다. 김 상임이사는 “정계에서는 아직 변화가 없지만 주요 언론의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며 “미국 오피니언 리더들을 상대하는 자리에서도 문 대통령이 시원하게 발언을 했다. 이전과는 분위기가 달랐다”고 현지 상황을 전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미국 주류 언론, 관료, 오피니언 리더들은 트럼프를 ‘비합리적’인 사람으로 본다. 부시와 오바마 정부를 지나면서 북한은 ‘불신국가’가 됐다”며 “하지만 문 대통령의 중재 노력과 최근 김 위원장의 행보로 인해 불신이 서서히 깨지고 있는 것 같다. 이제는 ‘이번 기회를 놓치지 말라’는 이야기가 나온다”고 평가했다. 그간 미국 주류 언론과 오피니언 리더들은 트럼프의 대북정책에 대해 성과가 없다며 비판했다.

이제 관심은 2차 북·미 정상회담이 ‘언제’ 열릴지로 옮겨가고 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늦어도 올해 11월 중순 전까지는 회담이 열려야 한다. 12월은 각국이 국내 정치로 바쁜 시기이고, 해를 넘기면 지지부진해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당사자인 북한과 트럼프는 모두 미국 중간선거(11월 6일) 전에 회담을 개최하고 싶어할 가능성이 크다. 이유는 단순하다.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 북·미 정상회담은 지지율에 도움이 된다. 실제 지난해 말 트럼프 대통령 지지율은 37%까지 떨어졌다가 6월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이후 45%까지 상승했다.

비핵화 조치와 종전선언 동시에

북한의 경우, 회담이 중간선거 이후 개최되면 위험부담이 크다. 먼저 중간선거 이후에도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이 지금과 같으리라고 확신할 수 없다. 중간선거를 통해 미국 내 정치상황이 변할 수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일각에서는 중간선거에서 민주당이 하원에서라도 다수당이 되면 트럼프 리더십이 흔들릴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양 교수는 “한반도 문제가 미국 선거에 휘말리는 건 좋지 않다”며 “10월 중순 전에 열리는 게 최선이고 11월 중순에 열리는 게 차선이다”라고 말했다.

물론 막무가내로 정상회담을 빠르게 개최할 수는 없는 노릇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북한으로부터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받아내지 못할 경우 ‘빈손 회담’이라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김 위원장 입장에서도 핵실험장을 폭파하고 핵사찰을 허용하는 이야기까지 나오는 현재 상황에서, 미국으로부터 종전선언을 받아내야 체면이 선다. 따라서 2차 북·미 정상회담이 빠르게 개최되기 위해서는 두 당사자가 ‘액션’을 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고유환 동국대 북한학과 교수는 “북한이 종전선언을 받아내려면 미국 여론이 수용할 만한 비핵화 조치를 내놔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양 교수는 “트럼프 행정부도 조건부라도 종전선언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하늬 기자 hanee@kyunghyang.com>

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