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이라크 재건사업 ‘뒷심이 필요해’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한화 신도시건설 선점 효과 날아갈 위기

7월 13일 강창희 국회의장단 일행이 한화건설의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현장을 전격 방문했다. 강 의장은 당초 3일부터 15일까지 케냐, 탄자니아 등을 순방할 계획이었다. 강 의장이 당초 예정에 없던 일정을 추가해 이라크를 방문한 것은 그만큼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사업이 중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강 의장은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공사는 한국사람 아니면 못하는 대공사로 ‘창조경제’의 모범사례”라며 “7년 뒤 인구 60만의 비스마야 신도시가 성공적으로 완공되면 전 세계가 대한민국 건설의 힘에 또 한 번 놀라게 될 것”이라고 격려했다.

지난해 5월 한화건설이 수주한 80억 달러 규모의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사업은 분당급 신도시를 만드는 거대 프로젝트로 한국 해외건설 역사상 최대 규모 수주사업이다.

강창희 국회의장(앞줄 가운데)이 7월 13일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현장을 방문해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앞줄 왼쪽)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한화건설 제공

강창희 국회의장(앞줄 가운데)이 7월 13일 이라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현장을 방문해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앞줄 왼쪽)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 한화건설 제공

‘제2 중동 붐의 초석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올 정도였다. 건설 기간만 7년에 이르는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덕분에 연인원 55만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졌고, 100여개의 협력사가 동반진출할 수 있게 됐다. 한화건설이 맡은 10만 세대 규모의 국민주택 건설 및 단지 조성공사의 대지 면적은 1830ha(550만평)로 여의도 6배에 달한다.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 수주액은 지난해 한국 해외건설 수주실적(649억 달러)의 10%를 상회하는 것이다. 강 의장이 창조경제의 모범사례라고 말한 이유다.

현재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공사는 2만여명의 인력이 머물 베이스캠프 공사와 부지 조성, 상·하수 처리시설 등 도시 인프라 공사가 진행 중이다. 본격적인 주택건설 공사는 2014년 1월부터 시작돼 2015년부터 해마다 2만 세대씩 5년에 걸쳐 10만 세대를 공급하게 된다.

그러나 더욱 중요한 것은 비스마야 신도시 건설공사가 아니다. 전후 복구사업이 한창인 이라크는 한국 건설업체에 새로운 엘도라도로 떠오르고 있다. 이라크 정부는 2017년까지 주택(800억 달러), 교통인프라(460억 달러), 에너지(800억 달러), IT·의료·보안(690억 달러) 등 총 2750억 달러, 한화로 약 300조원을 재건사업에 투자할 계획이다. 2030년까지로 늘리면 총 투자액수가 7000억 달러에 달한다.

김승연 회장 공백으로 2·3차 협의 불투명
국내 건설경기 악화로 위기에 빠져 있는 건설업체들로선 군침을 흘리지 않을 수 없다.

실제 지난해 7월 누리 알 말리키 이라크 총리는 김승연 한화 회장에게 발전 및 정유시설, 학교, 병원, 군시설 현대화, 태양광 사업 등 100억 달러 규모의 이라크 추가 재건사업 참여를 요청했다. 한화건설의 비스마야 선점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 사업이 진행되면 연인원 73만명의 일자리가 만들어진다. 100여개가 넘는 협력업체에도 일감이 생긴다. 이라크 재건사업에 다른 한국 기업이 뛰어드는 데도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컸다.

하지만 김 회장의 경영공백이 장기화하면서 2·3차 재건사업에 대한 협의가 불투명해지고 있고, 선점효과도 퇴색하고 있다.

한화건설 김현중 부회장은 “현재 중국과 터키, 인도는 물론 유럽 건설사들까지 이라크 재건사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들고 있다”면서 “현 상황이 지속될 경우 경쟁국에 이라크 재건사업의 선점효과를 빼앗길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김현명 주이라크 한국대사는 “국익 차원에서만 생각한다면 참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최영진 기자 cyj@kyunghyang.com>

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