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外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신간]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外

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양영란 옮김·갈라파고스·1만2800원

스위스는 정·재계 거물들의 자금 은닉이 화제가 될 때마다 단골로 등장하는 나라다. 스위스 연방의회 의원으로 활동했던 저자는 1990년 스위스 은행의 돈세탁과 금융가와 공모한 정치가들의 이면을 추적한 이 책을 쓴 후 의원면책 특권을 박탈당했다.

[신간]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外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
천정환 외 지음·푸른역사·2만5000원

저자들은 한국문학사가 이제는 ‘죽은 자식’이 돼버렸다고 말한다. 죽은 문학사를 되살릴 수는 없을까. 저자들은 이 책을 통해 2000년 이후 인문학 연구의 성과를 동원해 한국문학사의 주요 텍스트를 다시 읽으면서 기존의 민족주의-남성-엘리트 중심 문학사를 해체하려 했다고 말한다.


[신간]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外

보노보 은행
유병선 외 지음·부키·1만4800원

저자들은 실물경제에 돈을 돌리지 않고 거품으로 돈을 벌 궁리를 하는 기존 은행을 ‘침팬지 은행’이라고 부른다. 저자들이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은 사람, 환경, 이익을 추구하는 ‘보노보 은행’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사회적 금융기관들을 소개한다.

[신간]왜 검은 돈은 스위스로 몰리는가 外

CSI in 모던 타임스
데버러 블룸 지음·장세현 옮김·어크로스·1만8000원

과학 저널리스트인 저자가 ‘재즈시대’ 미국 뉴욕을 휩쓴 ‘독살 광풍’을 소재로 쓴 논픽션. 1915년부터 1936년까지 미국 뉴욕 11번가에서 벌어진 일련의 살인사건들을 추적하는 두 법의학자들의 이야기다. 두 사람은 범죄 원인을 밝혀내는 과정에서 미국 법의학의 기초를 세웠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