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아듀! 여수엑스포, 이젠 사후 활용이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조직위, 민간주도 개발 운영 적극 검토…국제대회 준비하는 인천·강원도도 고민 중

8월 12일, 2012여수세계박람회(여수엑스포)가 3개월의 대장정을 마치고 막을 내렸다. 환상적이라는 평을 들은 ‘빅오쇼’, 국내 최초로 소개된 흰고래 ‘벨루가’를 볼 수 있었던 아쿠아리움, 218m 길이의 LED 스크린이 길게 뻗은 엑스포디지털 갤러리 등 여수엑스포는 많은 이야깃거리를 남겼다.

800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여수엑스포를 찾았고, 세계박람회기구(BIE)도 성공적이라는 평가를 내렸다. 하지만 여수엑스포 이후가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여수엑스포장을 어떻게 활용하느냐를 빨리 결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사후 활용방안이 어떻게 마련되느냐에 따라 여수엑스포의 진정한 성공 여부가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 2014인천아시안게임, 2018평창동계올림픽을 준비 중인 인천과 강원도가 여수를 주목하는 이유다.

여수엑스포 이후에도 빅오쇼(사진), 디지털갤러리, 아쿠아리움, 주제관, 한국관 등의 시설물은 계속 운영되는 것으로 결정된 상황이다. | 연합뉴스

여수엑스포 이후에도 빅오쇼(사진), 디지털갤러리, 아쿠아리움, 주제관, 한국관 등의 시설물은 계속 운영되는 것으로 결정된 상황이다. | 연합뉴스

엑스포의 진정한 성공여부 사후관리
7월 20일 여수엑스포 폐막을 20여일 앞두고 세계박람회기구(BIE) 로세르탈레스 사무총장은 기자회견을 통해 여수엑스포가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로세르탈레스 사무총장은 “비가 오고 흐린 날이 많았는데도 관람객의 방문을 막을 수 없었다”면서 “바다와 해양이라는 주제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람회의 성공 여부를 판단하는 요인으로는 관람객수, 전문가 평가, 주제구현 등인데, 성공 3대 요소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여수엑스포장 건설 2조1000억원을 포함해 고속도로와 철도 등 SOC에 들어간 예산을 합하면 10조원이 넘었다. 여수의 기반시설이 정비되면서 여수가 한층 발전했다는 말도 나온다.

반면에 여수엑스포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전시관에 들어가기 위해 2~3시간씩 길에서 기다려야 하거나, 관람객 수를 채우기 위해 저가표를 남발한 점도 비판을 받았다. 개막 16일 만에 예약제가 전격 폐지됐지만, 한 달이 채 지나기도 전에 복원되는 등 운영 미숙도 드러냈다. 55만명 목표를 했던 외국인 관람객 수도 목표치의 10% 내외 수준으로 국내 잔치에 불과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12조2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예상했던 여수엑스포 조직위원회의 바람과는 달리 전남·여수의 지역경제에 큰 도움을 주지 못했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성곤 민주당 의원(여수갑)측은 “여수엑스포장이나 기반시설 등은 만족할 수준이다. 하지만 운영과 마케팅 면에서는 낮은 점수를 받고 있다”면서 “여수엑스포 특수를 기대했던 여수 상인들로부터 불만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앞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엑스포장 사후 관리다. 정부는 엑스포장 사후 관리방안에 대해 효율성만 내세워 비판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여수엑스포 사후 활용 방안에 대해 ‘효율성’이냐 ‘공공성’이냐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7월 25일 국회에서 엑스포 사후 활용 방향과 정책과제 토론회’가 열렸고, 이 토론회에서도 시각차가 여실히 드러났다.

국토해양부 연영진 해양정책국장은 “토지·건물 등은 공공이 관리하고, 민간이 주도적으로 개발·운영하는 체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여수엑스포 시민포럼 이상훈 사무처장은 “공공적 성격의 주제 구현을 위해 정부의 선도적인 투자가 앞서야 한다”면서 “국립해양체험단지나 국제적 녹색기구 사무국, 여수프로젝트 실천기구 등을 엑스포 시설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여수엑스포 사후 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여수엑스포 조직위원회 기획총괄부 관계자는 “엑스포의 후광효과를 이어가기 위해 ‘해양휴양관광단지’라는 큰 틀에서 사후 활용이 결정될 것”이라며 “여수엑스포의 성공 여부는 사후 관리에서 결정된다. 관계부처가 협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와 조직위원회의 기본방향은 민자사업을 통해 효율성을 높인다는 것에 방점이 찍혀 있는 것. 빅오쇼 무대, 디지털갤러리, 아쿠아리움, 주제관, 한국관 등의 시설물은 엑스포 이후에도 계속 운영되는 것으로 결정된 상황이다. 가장 많은 인기를 얻었던 아쿠아리움은 9월 13일부터 관람료 2만5000원(어른 기준)에 재개장된다.

적자 허덕이는 대전엑스포의 교훈
효율성을 강조하는 목소리가 큰 이유는 대규모 국제대회를 치른 후 시설물의 사후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가 많았기 때문이다. 1993년 대전엑스포와 2002년 한·일월드컵이 대표적인 사례다. 1993년 1400만명의 관람객이 찾았던 대전엑스포장은 현재 공기업과 대전시에서 관리하는 전시관을 제외하면 대부분 휴관한 상황이다. 2002년 한·일월드컵 준비를 위해 서울·인천·대구 등 10개 도시에 건설된 월드컵경기장의 경우 서울을 제외한 9개 경기장은 모두 적자라고 알려져 있다.

아시안게임과 동계올림픽 준비에 한창인 인천과 강원도의 경우도 경기장 시설의 사후 활용방안을 가장 큰 숙제로 여기고 있다. 이를 위해 시설물의 규모를 줄이거나, 민자사업체가 만든 시설을 임대해서 사용하는 등의 복안을 내놓고 있다. 인천의 경우 주경기장을 제외하고 인접 도시의 경기장 사용으로 지자체의 부담을 줄이기로 했다. 인천시 대변인을 지냈던 윤관석 민주당 의원(인천 남동을)은 “주경기장을 제외한 보조경기장의 경우 새로 짓기도 하지만, 가능하면 인접 도시의 경기장을 임대해 사용할 계획이다. 문제가 되는 것이 주경기장인데, OCA(아시아 올림픽 평의회)와 협의를 거쳐 7만석 규모를 6만석으로 줄이기로 했다. 아시안게임 이후에는 수익 창출을 할 수 있도록 명품 아울렛 등의 시설을 유치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아시안게임을 대비해 건설에 들어갔던 도시철도 2호선도 시 재정에 압박을 주기 때문에 아시안게임 이후로 완공을 미룰 계획이다.

강원도도 동계올림픽 이후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다. 지난해 12월 29일 ‘2018 평창동계올림픽특별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해 경기장 건설비의 75%(4053억원)를 국비에서 지원받게 된다. 여수와 인천에 비해 국비 지원이 많아 시설물 건설에 부담이 적지만, 시설물 대부분은 임시시설로 건설할 계획이다. 1만석 규모의 경기장의 경우 4000석은 고정으로 하고, 나머지 6000석은 임시시설로 만든다는 복안도 가지고 있다. 강원도청 신만희 동계올림픽추진본부장은 “강원도는 가급적 경기장을 임시시설로 만들 계획이다. 13개의 경기장이 필요한데, 7곳은 1999년 강원 동계 아시안게임 때 만든 경기장을 사용하고, 나머지 6개 경기장은 2016년 10월까지 완공할 계획”이라며 “강원도는 사후 관리에 가장 신경을 쓰고 있다. 동계올림픽을 치렀던 나가노(일본), 릴레함메르(노르웨이) 등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동계올림픽 개최 이후 강원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것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영진 기자 cyj@kyunghyang.com>

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