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간특집

힘 센 인사들 ‘특혜 부킹’ 단골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골프장 예약 관행 문제점… 비싼 이용료도 논란거리

골프장 이용 연인원이 이미 2005년에 1600만 명을 돌파했다지만, 우리나라에서 골프는 여전히 특권층 스포츠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골프와 특혜 사이의 친연성이 유난히 강했고, 골프장 이용료가 다른 국가들에 비해 워낙 높은 탓이다.

2006년 3월 1일 당시 이해찬 총리는 부산의 한 골프장에서 부산 지역 상공인들과 교육인적자원부 차관, 청와대 교육문화수석 등과 함께 골프를 쳤다가 ‘황제 골프’ 논란에 휘말렸다. 한나라당은 이 전 총리가 이 자리에서 직무와 관련한 부당한 청탁을 받았고, 골프장 이용료를 부산 지역 상공인들이 냈으며, 이 전 총리가 앞뒤 한 팀을 빼고 여유 있게 라운딩을 즐기는 ‘황제 골프’를 쳤다고 주장했다. 사건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은 결국 ‘황제 골프’ 의혹에 대해 무혐의 처리하기는 했지만, 이 일로 이 전 총리는 ‘강직함’이라는 자신의 정치적 이미지에 치명상을 입었다.

이보다 앞서 2004년에는 당시 1년 가까이 개장이 지연되던 난지도 골프장에서 ‘코스 점검’을 명분으로 서울시청, 서울시의회 및 구의회, 행정자치부, 경찰서 등 유관기관 관계자 3000여 명이 무더기로 비밀 골프를 즐긴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국회 문광위 심재철 한나라당 의원이 국민체육진흥공단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이들은 1차 코스 점검 기간인 2003년 11월 9일부터 12월 28일까지 735명, 2차 코스 점검 기간인 2004년 1월 7일부터 4월 25일까지 1059명, 같은 해 5월 1일부터 17일까지 1231명 등이 모여 골프를 즐겼다. 당시 난지도 골프장은 공사를 완료하고도 서울시와 국민체육진흥공단 사이 골프장 이용료 분쟁으로 개장하지 못한 상태였다.

공정위 시정명령 받기도
같은 해 6월에는 공정위가 비회원에게 골프장 예약 특혜를 준 9개 골프장에 대해 시정명령을 내렸다. 공정위 조사에 따르면 이중 8개 골프장은 관공서 및 회사와 특수관계에 있는 주주와 계열사 임원 등에게 주말 또는 공휴일에 예약할 수 있게 해줬고, 나머지 1개 골프장은 회원들만 이용할 수 있는 날에 비회원 예약을 미리 받아 입장시켜줬다. 또 일부 대중 골프장은 회원제 골프장으로 변칙 운용했다가 덜미를 잡히기도 했다.

이처럼 특혜 관련 시비가 잇따르자 골프장경영협회는 2004년 12월 특권층에 대한 골프장 특혜를 없애겠다고 발표했다. 그 이전 국회의원, 장·차관, 법관, 언론인 등에게 입장료를 깎아주고 예약 편의를 봐줬던 관행을 없애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그러나 이해찬 전 총리 ‘황제 골프’ 파문은 이 약속의 구속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지금은 어떨까. 골프장경영협회 이종관 팀장은 “당시 그런 결정을 내린 것은 워낙 시끄러웠기 때문이다”라면서 “요즘은 거의 사라졌다고 본다. 회원사 중에서 그 문제로 문의해온다든가 하는 일이 없다”고 말했다. 지방의 한 골프장 사장도 “자꾸만 특혜 시비가 불거지면서 지금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지방에서는 지역기관장들에게 ‘VIP회원’ 자격을 주는 일이 여전히 관행화되어 있다.

골프장 이용료는 여전히 비싸다. 지난해 5월 소비자원이 낸 통계에 따르면 한국 환율을 기준으로 한국 골프장 이용료가 100이라면, 미국은 90.4, 독일 43.5, 프랑스 48.1, 대만 52.4로 나타났다. 일본만 106.6으로 한국보다 높았다. 실제 구매력을 고려한 구매력 지수를 기준으로 하면 격차는 더욱 크다. 한국을 100으로 했을 때, 미국은 67.5, 독일은 23.8, 프랑스는 25.4로 나타났고, 일본도 68.9에 불과했다. 서천범 한국레저산업연구소 소장은 “골프 인구는 2011년이 되면 정점이 될 것”이라면서 “골프가 대중화하더라도 시간과 돈이 있어야 즐길 수 있는 운동이라는 점은 변하지 않을 것”이라고 봤다.

<정원식 기자 bachwsik@kyunghyang.com>

관련기사

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