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이야기

에두아르 마네의 ‘올랭피아’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미술사 최대의 스캔들 일으키다

‘올랭피아’, 1863년, 캔버스에 유채, 130×190, 파리 오르세 미술관 소장

‘올랭피아’, 1863년, 캔버스에 유채, 130×190, 파리 오르세 미술관 소장

미술사에서 가장 큰 스캔들을 일으킨 작품이 에두아르 마네(1832~1883)의 ‘올랭피아’다. 부르주아 출신의 마네는 살롱전을 통해 화가로서 성공을 꿈꾼 것이지 스캔들을 일으킬 정도로 혁명가적 기질은 없었다. 그는 단지 자기 시대를 솔직하게 표현한 화가였다.

19세기 파리에는 많은 매춘부가 사회 전반에 등장하던 시기다. 공식 매춘부를 비롯하여 세탁부, 점원, 모델 등 사회 하류층 여자들이 아르바이트로 매춘을 해서 돈을 벌었고 마네는 매춘들이 넘쳐 흐르는 사회를 있는 그대로 표현했을 뿐이다. 그렇지만 결과적으로 ‘올랭피아’는 그의 의지와 상관없이 그를 20여 년 동안 고통받게 했다.

‘올랭피아’는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에서 모티브를 얻은 작품으로 사람들의 예상과는 다르게 프랑스 공식 화단인 살롱전에 입선했다. 하지만 입선은 더 큰 스캔들에 휩싸이는 결과를 낳았다.

티치아노의 ‘우르비노의 비너스’는 아름다운 여인을 묘사한 것이지만 ‘올랭피아’는 밤의 꽃인 매춘부를 표현했기 때문이다. 그 당시 화단에서 벌거벗은 여성을 표현할 수 있는 주제는 신화였다. 누드화는 인기 있는 소재 중에 하나였지만 대부분 누드화는 여신의 모습으로만 등장했던 것이다.

알렉상드르 뒤마의 소설 ‘춘희’에 등장하는 올랭피아는 춘희의 연적으로서 부끄러움을 모른 채 아름다운 육체를 팔아서 살아가는 창녀의 이름이다. 마네가 이 작품을 제작할 당시 올랭피아는 파리에서 창녀의 대명사가 되었다. 또 올랭피아의 머리를 장식하고 있는 난초는 사치와 여성의 성욕을 상징하는 꽃이다.

목걸이와 슬리퍼만 신고 쭉 뻗은 다리 아래 음부를 손으로 가리고 있는 벌거벗은 여인은 고상하고 우아한 여신이 아니라 부끄러움을 모르는 파렴치한 여자였다. 당시 유행했던 창녀의 모습을 마네는 우회적인 방법으로 묘사한 것이 아니라 현실 그대로 표현했다. 더욱이 목걸이는 창녀들 사이에서 유행하던 것이다.

‘올랭피아’는 화려한 꽃다발을 들고 있는 흑인 하녀와 대조를 이루면서 남성의 사랑을 원하는 여성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 오른쪽 구석에 있는 검은 고양이는 발기된 남성을 상징하고 있는데 이 고양이는 1865년 살롱전에 출품하기 전에 덧그린 것으로, 마네의 추문의 상징이 된다.

당시 ‘올랭피아’를 비웃고 비난하기 위해 너무 많은 사람이 몰려와 주먹을 휘두르고 지팡이로 후려치는 소동이 있어서 그림 앞에 3명의 호위를 내세워야 했다고 한다. ‘올랭피아’의 원제는 ‘고양이와 함께 한 비너스’였으나 마네는 시인 아스트뤽의 권유로 제목을 바꾸었다. 공식 화단에서 성공하고 싶어했던 마네는 스캔들을 불식하고자 자신의 동거녀이자 ‘올랭피아’의 모델인 빅토린 뫼랑을 다른 작품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시켰다.

박재현〈작가·아트 칼럼니스트〉

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