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의 날, 한국 현주소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에이즈 감염인 4401명, 매일 2명 꼴로 감염인 발생

12월 1일로 제19회 ‘세계 에이즈의 날’을 맞은 우리나라의 현 주소다. 이 수치는 우리나라도 더 이상 에이즈 안전지대가 아님을 보여준다. 11월 30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국내 에이즈 감염인 수(누적기준)는 4401명이며, 그중 806명이 숨졌다. 올 들어서만 새로 572명이 걸렸고 85명이 이 병으로 죽었다.

에이즈 감염인 가운데 감염 원인이 확인된 3729명의 감염 경로를 보면 ▲이성 간 성접촉 59.4% ▲동성 간 성접촉 39.2% ▲국내 수혈 0.5% ▲국외 수혈 0.3% 등으로 무분별한 성접촉에 의한 감염이 압도적이다. 감염인 대부분은 20∼40대이나 최근 60세 이상 감염인이 늘어나는 등 전 연령층으로 확산되는 추세다.

- 이게 다 여성부 때문이다.-fenrith
- 순간의 쾌락으로 인생 종치기 전에-miraju33
- 그러니까 2차 가지 말라니까-alphajeny
- 영국에서 발표한 대로 성관계로 에이즈는 없다-shinichro
- 에이즈가 실제 병이 아니라는 설도 있던데-haneulhime

행시·외시 20% 지방대 출신 선발

<경향신문>

<경향신문>

2007년부터 행정고시와 외무고시에서 지방대 출신을 최대 20%까지 의무적으로 뽑는다. 중앙인사위원회 김영호 사무처장은 “지방대 출신의 공직 임용 기회를 늘려주기 위해 일정 비율을 의무적으로 뽑는 ‘지방인재 채용목표제’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지방인재 채용목표제는 행시·외시 합격자 중 지방학교 출신이 목표 비율에 모자랄 때 부족한 만큼 추가로 합격시키는 제도다. 인사위가 정한 목표 비율은 1차 20%로 선발인원이 10명 이상인 시험 단위에 적용된다. 행시의 경우 일반행정·재경·국제통상·전기직, 외시는 외교통상직이 해당된다. 다만 2차 시험부터는 당초 합격 예정 인원의 5% 이내로 추가 합격자 수를 제한키로 했다. 인사위 관계자는 “올해 행시와 외시 합격자 중 지방대 출신은 14% 정도였다”며 “이 제도를 적용해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6명이 추가 합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 지방대생들한텐 뭐 문제집을 안 파냐?-gusdudrnsud
- 경기도로 사람이 더 몰릴 듯-avantem
- 고시는 학벌에 상관없이 뽑는 건데-bookworm99
- 지방대 얘들 또 고시에 매달리겠군-kpo40po
- 기회의 평등에 어긋나는 짓이다-bedro771

[인물 신호등]

김재민

공중사격의 최고 전문가 ‘하늘의 제왕’으로 불리는 올해의 ‘탑건’(TOP GUN)으로 제19전투비행단 159전투비행대대 소속 김재민 소령(34·공사44기)이 뽑혔다. 김 소령은 올해로 47회째를 맞는 ‘2006년 보라매 공중사격대회’에서 최고점수를 기록했다. 김소령은 공군작전사령부가 지난달 실시한 공중사격대회에 출전, 만점인 1000점을 얻었다.

<김문석 기자>

<김문석 기자>

이헌재

미국계 사모펀드인 론스타의 외환은행 헐값매입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대검 중수부는 지난 11월 30일 이헌재 전 경제부총리를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은행 매각을 둘러싼 각종 의혹을 추궁했다. 채동욱 대검 수사기획관은 “이 전 부총리를 이날 오후 3시께 불러 조사를 시작했다. 외환은행 매각 과정에서 제기됐던 의혹을 모두 조사하게 될 것이다”고 밝혔다.

넷월드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