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수출기업 해외물류 특화서비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중소기업은 문재인 정부의 키워드다. 아직 윤곽이 드러나지 않았지만 ‘J-노믹스(문재인 정부의 경제정책)’의 핵심인 일자리 창출과 저성장 극복의 역할이 중소기업에 있기 때문이다. 중소기업청을 중소기업벤처부로 승격시키는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중소기업을 말할 때 ‘9988’이라는 숫자가 인용되곤 한다. 중소기업이 전체 기업 수의 99%, 전체 노동자의 88%를 차지한다는 의미다. 우리나라에는 중소기업이 312만개 있다. 근로자 1500만명을 고용하고 있다. 대기업 못지않은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이 얼마나 되느냐에 따라 국가경쟁력도 달라진다는 얘기다.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는 게 기업도 살리고 국가경제도 살리는 길이다.

국내 중소기업의 고충으로 손꼽히는 것 중 하나가 물류서비스다. 기업의 영세성으로 인해 물류 인프라 확충이 어렵다. 그에 따라 수수료 등 수많은 추가부담을 해야 한다. 중소·중견 물류기업의 서비스 수준조차도 대기업의 60% 정도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따라 일본에서 크게 유행하고 있는 ‘횡청(요코가케)협력’도 쉽지 않다. 횡청이란 중소기업과 중소기업이 서로 협력, 자신들의 약점을 보완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이런 상황에서 수출에 특화된 물류서비스를 하는 것은 더 어려운 게 사실이다.

우정사업본부 김기덕 본부장(왼쪽)과 중소기업청 주영섭 청장이 24일 서울 광화문우체국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 김기덕 본부장(왼쪽)과 중소기업청 주영섭 청장이 24일 서울 광화문우체국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우정사업본부가 중소기업을 돕는 ‘유통닥터’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우정사업본부가 중소기업청과 손잡고 수출기업에 특화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출 지원사업에 나선다. 두 기관은 지난 5월 24일 서울지방우정청에서 ‘중소·중견기업의 해외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새 정부의 주요 공약인 중소·중견기업 육성정책의 일환으로 기업의 수출경쟁력 강화와 경제활성화를 위해 마련됐다. 이를 위해 우정사업본부는 중소기업청이 추천한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우체국 국제특송(EMS) 요금할인 등 우대서비스 제공 ▲수출신고 간소화 서비스 제공 ▲수출 물류비 절감에 관한 컨설팅 지원 ▲수출 확대 및 시장 다변화를 위한 맞춤서비스 개발사업 등을 추진한다.

또한 중소기업청에서는 중소·중견기업이 ▲국제우편 서비스의 손쉬운 활용을 위한 여건 조성 ▲중소기업청의 온라인수출 플랫폼과 우체국 물류시스템 연계 ▲우정사업본부와 공동으로 설명회·간담회 등의 개최를 통해 수출 및 물류정보 제공 ▲우체국 물류서비스와 연계한 수출 촉진 및 시장 다변화를 추진한다.

우선 우정사업본부는 7월부터 중소기업청이 추천하는 약 1만개의 중소·중견기업에 대해 우체국 국제특송(EMS) 요금을 기본 8%에서 최대 16%까지 할인한다. 8월에는 수출기업에 대해 수출 물류비 절감에 관한 컨설팅을 지원할 계획이다.

우체국 국제특송(EMS)은 우체국의 신뢰도와 안전성을 바탕으로 물품을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전세계의 우편 네트워크를 통해 배송하는 특송 서비스다. DHL, UPS 등 민간 특송에 비해 요금이 저렴하고 세관 신고서 작성이 어렵지 않아 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서비스 품질 또한 우수해 만국우편연합(UPU)의 2016년 서비스 품질 평가에서 최고상(Gold Level)을 수상한 바 있다.

김기덕 우정사업본부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우체국 EMS의 빠르고 안전한 해외배송 서비스가 중소·중견기업의 해외시장 경쟁력 강화에 획기적으로 기여할 것”이라면서 “우정사업본부는 정부기업으로서 중소기업청과 앞으로도 계속 협력해 기업이 수출하기 좋은 물류환경을 구축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김경은 편집위원 jjj@kyunghyang.com>

우정이야기바로가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