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 사업을 시작할 때가 50대 때였는데, 우리 시방 나이가 팔십이 돼가지고. 새만금 사업하는 하청업체에 사람이 없다고 일하러 갔는데, 예순아홉 살 먹었을 때여. ‘이 나이 먹고 일하고 싶냐’고 얼마나 면박을 주는가, 고담부터 지원도 안 했어.”
새만금 사업은 기대와 달랐습니다. 1991년 사업을 시작해 3년 만에 완성하겠다고 했지만, 올해로 33년째 사업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이제 절반 좀 넘게 했다니 갈 길도 멉니다. 낙후된 전북지역의 발전을 위한다는 명분이었지만, 김제시에서 만난 어르신의 말처럼 지역민들에게는 대단한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새만금 지역인 군산·김제시, 부안군의 인구는 모두 줄었고, 지난 10년간 국내총생산에서 전북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습니다.
그런 새만금 지역을 두고 군산·김제 두 도시가 혈투를 벌이고 있습니다. 공개 비난이 난무하고, 관할권의 향방이 걸린 고군산군도를 두고는 삼국시대를 소환하는 역사전쟁이 벌어집니다. 새만금 사업이 속 빈 강정임을 누구보다 잘 아는 이 지역 주민들도 이 싸움에 적극적으로 임하고 있습니다.
왜일까요. 부도수표일지라도 희망을 걸어 볼 대상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잃은 것이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황금어장을 잃고, 갯벌을 잃었습니다. 이제는 발언권도 잃고 있습니다. ‘균형 발전’이라는 명분은 천문학적인 예산이 30여 년간 투입됐다는 새만금 사업 앞에 갈수록 힘을 잃고 있습니다. 지난해 잼버리 사태는 결정타였습니다. 중앙 정부는 책임을 묻기라도 하듯 새만금 사업 예산을 깎았습니다.
새만금 사업을 보면 정책 판단의 가벼움을 생각하게 됩니다. 사업은 전북지역의 소외감을 한 번에 만회해보겠다는 정치적 의도로, 구체적인 구상 없이 서둘러 추진됐습니다. 역대 정부에서처럼 이번 정부 들어서도 새만금 기본계획이 전면 수정되는 배경입니다. 두 도시의 다툼도 한없이 가볍게 다뤄질 게 우려됩니다. 메가시티가 일단 갈등은 덮어놓고 갈 수 있겠지만, 이 지역을 위한 답이 될 수 있을까요. 쇠락하는 두 도시를 구할 숙고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