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0.7 ~ 13
2024.10.11 (금)
자주쓰는 링크
로그인
회원가입
표지이야기
특집&이슈
정치
경제
사회
문화&과학
세계
스포츠
오피니언
연재
검색
연재
주간경향
>
문화내시경
창문너머 어렴풋이
가슴앓이 떠오르는 주크박스 뮤지컬
<맘마미아!>의 흥행 이후 수많은 주크박스 뮤지컬이 등장하고 있다. 동전을 넣으면 왕년의 인기 음악을 들려주는 음악상자인 주크박스처럼 무대가 흘러간 옛 추억의 대중음악들을 극적인 얼개에 맞춰 재연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주크박스 뮤지컬은 일반적으로 뮤지컬을 즐기는 공연 관객···
[ 1299호
ㅣ
2018.10.29 ]
1930년대 경성의 하루
구보는 소설가 박태원의 호다. 그의 대표작 <소설가 구보씨의 1일>을 통해 널리 알려진 이름이다. 그는 서울 토박이로 경성제일고보를 졸업하고 도쿄에서 유학한 뒤 하루가 다르게 변해가던 당시의 경성 풍경과 도시인의 내면을 독특한 문장과 실험적 형식으로 담아낸 모더니스트 작가다. 그의 대표작 <소설가 구보씨의 1일>은 신출내기 소설가 구보가 ···
[ 1298호
ㅣ
2018.10.22 ]
한국 실험미술 대표작가 이강소
갤러리현대 1층에서 열리는 전시 전경 미술관 한가운데 묶인 닭, 1970년대 선술집, 줄에 엮인 굴비…. 이 모든 게 예술이 될 수 있을까. 지금도 선뜻 답하기 어려운 질문을 40여년 전, 세계 미술계에 던진 예술가가 있다. 한국 실험미술 대표작가 이강소(75)다. 이 작가는 오리·사슴·집 등 알아보기 쉽고 색 또한 편안한 ‘···
[ 1297호
ㅣ
2018.10.15 ]
서울올림픽 30년, 주제가에 얽힌 사연
올해로 1988 서울 올림픽이 30주년을 맞았다. 우리나라가 처음 개최한 올림픽이었기에 그 의의나 그 시절 풍경을 되새기는 움직임이 각계에서 활발히 벌어지고 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은 올림픽 비화를 엮은 단행본을 발간했으며, 서울역사박물관, 소마미술관은 올림픽과 관련한 전시를 진행 중이다. 9월 16일 KBS는 서울 올림픽의 명과 암을 진솔···
[ 1296호
ㅣ
2018.10.08 ]
뮤지컬 버전 <바넘 위대한 쇼맨>
쇼 비즈니스에서 어느 정도의 과장이 허용될까? 뮤지컬을 통해 이 재미난 논쟁을 보여주는 작품이 막을 올려 화제다. <바넘 위대한 쇼맨>이다. (주)킹앤아이컴퍼니 공연이 시작되면 그곳은 19세기 중반의 미국, ‘서커스’와 ‘쇼’가 인생의 전부인 사나이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이 등장한다. 그는 스스로 떳떳한 사기꾼이라 부르는데, 사···
[ 1295호
ㅣ
2018.10.01 ]
한국 첫 무대 오른 <생쥐와 인간>
존 스타인벡의 소설을 원작으로 한 연극 <생쥐와 인간>의 원제는
으로, 굳이 직역하자면 ‘생쥐와 인간의’ 정도로 해석할 수 있다. 이는 작가 스타인벡이 스코틀랜드 시인 로버트 번스의 시 <생쥐에게>의 한 구절 ‘The best laid schemes of mice and men go often awry’에서 ···
[ 1294호
ㅣ
2018.09.17 ]
‘침묵의 화가’ 윤형근 회고전
역사는 때론 한 개인에게 가혹한 발자취를 남긴다. ‘단색화 거목’ 윤형근(1928~2007)도 한국 근현대사의 소용돌이를 피하지 못했다. 1928년 충청북도 청주에서 태어나 일제강점기와 한국전쟁 등 참혹했던 역사적 시기에 청년기를 보냈다. 1947년 서울대에 입학했지만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안’ 반대 시위에 참가해 제적당한다. 195···
[ 1293호
ㅣ
2018.09.10 ]
세련된 단아함 지닌 장필순
젊은 세대에게 중견 싱어송라이터 장필순은 낯선 인물이다. 음반은 비교적 꾸준히 발표하고 있지만 아이돌이 아니라서 10대·20대들의 레이더에 포착되는 일이 거의 없다. 인기 예능 프로그램에 모습을 드러내지도 않는다. 작년에 방송된 JTBC <효리네 민박>에서 짤막하게 얼굴을 비친 것이 네댓 해 만에 처음 이뤄진 브라운관 나들이였다. 장···
[ 1292호
ㅣ
2018.09.03 ]
초연 대박, 웃는 창작 뮤지컬
초연되는 창작 뮤지컬이 한 달여 만에 10만 관객을 넘었다. 영화로 치면 삽시간에 수백만 관객을 돌파한 것과 같은 흥행이다. 뮤지컬이 영화보다 오래 공연되며 대중들을 만나는 것을 감안하면 앞으로의 행보에 기대가 모아지지 않을 수 없다. <웃는 남자>가 쓰고 있는 신기록이다. EMK 뮤지컬 컴퍼니 뮤지컬의 원작은 빅토르 위고가 ···
[ 1291호
ㅣ
2018.08.27 ]
여전히 떠돈다. 괴벨스 망령
<괴벨스 극장>은 독일 나치스 정권 시절, 선전 장관을 지내며 히틀러의 오른팔 역할을 했던 파울 요제프 괴벨스의 삶을 그린 연극이다. 어릴 적 골수염에 걸려 평생 한쪽 다리를 절며 살아야 했고, 그 때문에 학교에서나 군대에서나 무시당했던 그가 교묘한 선전·선동을 통해 나치스의 주요 인물로 급부상하게 된 것은 매우 드라마틱한 인생역전이라 할···
[ 1290호
ㅣ
2018.08.20 ]
스포츠와 예술의 접점 ‘몸’
“근대인은 신체의 중요성을 잊고 있다.” 불과 150년 전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는 몸이 정신에 비해 주목받지 못하는 세태를 지적했다. 이원론적 세계관이 지배적이었던 서구 역사에서 인간의 몸은 오랫동안 정신에 종속된 하위 존재로 홀대당했다. 그러나 20세기 들어 몸의 가치는 급부상했다. 현대 사회에서 ‘몸’에 대한 관심은 숭배에 가까···
[ 1289호
ㅣ
2018.08.13 ]
일렉트로닉 댁스음악의 추억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은 이제 더는 마니아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2015년 Mnet 서바이벌 프로그램 <프로듀스 101>의 주제가로 출시된 ‘픽 미(Pick Me)’가 큰 인기를 얻으면서 일렉트로닉 댄스음악은 주류 시장을 빠르게 접수했다. 이후 많은 아이돌 그룹이 트로피컬 하우스, 뭄바톤, 퓨처 베이스 같은 전자음악 하위 장르를 골격으로 취한···
[ 1288호
ㅣ
2018.08.06 ]
뮤지컬 <도그파이트>
하루 동안 짧고 열정적인 첫사랑
영화 <라라랜드>와 <코코>의 공통점은? 정답은 음악을 만든 사람이 같다는 것이다. 요즘 세계 뮤지컬계의 황금 듀오라 불리는 파섹과 폴이다. 그들이 만든 뮤지컬 한 편이 국내에 막을 올렸다. 우리말로는 ‘개싸움’이라는 의미인 <도그파이트>다. 배경은 베트남 전쟁을 전후로 한···
[ 1287호
ㅣ
2018.07.30 ]
1
2
3
4
5
6
7
8
9
10
다음페이지
이번호 기사 베스트
지난호 기사 베스트
1
(16) 방사청, KDDX 사업 ‘승자의 저주’로 몰고 가나
2
“국제사회는 왜 이스라엘의 전쟁범죄를 방치하는가”
3
(39) 최사라 실장, 불륜으로 해고할 수 있을까?
4
슬픈 백세시대…아버지, 우리 아버지
5
민심은 불타오르는데…
6
기후위기에 사막이 된 바다…해녀는 생존할 수 있을까
7
윤·한 갈등의 근원은 결국 여사 공천 때문?
8
200여 년의 세월을 넘어…신윤복·정선의 그림이 살아 움직인다
1
“애가 되게 답답했는데…알고 보니 제가 무지”
2
“이게 대선이야, 군수 선거야” 명·국대전 격전지 된 영광
3
(73) 경북 영주 부석사-늦여름과 초가을 사이에 서서
4
의사 출신 의원들, 의료대란 진단과 처방 왜 다를까
5
서울교육감 보선, 진보·보수 1 대 1 빅매치 성사됐다
6
지방소멸 해법, 달라져야 합니다
7
(30) ‘삼성 부당 합병’과 국민연금의 이중 플레이?
8
‘문제’ 있지만 ‘불공정’ 아니다?…축협·홍명보의 원영적 사고
시사 2판4판
민심은 불타오르는데…
주간 舌전
“북핵 사용 땐 그날이 정권 종말”
오늘을 생각한다
멋진 행사, 떠나는 군인
지난 10월 1일 예산 80억원을 쓰고 5000여명의 병력과 83종 340여대의 장비가 참여한 건군 76주년 국군의 날 행사가 성대하게 마무리됐다. 윤석열 대통령은 “국군통수권자로서 국군 장병 여러분을 무한히 신뢰하며, 국민과 힘껏 응원하겠다”는 힘찬 연설로 시가행진의 끝을 장식했다. 이번 행사를 전후로 시대가 변한 만큼 막대한 예산과 인력이 투입되고 장기간의 힘든 연습이 필요한 시가행진보다는 고생하는 장병들에게 정말 격려와 위로가 되는 행사를 기획해야 한다는 여론과 시가행진이 우리 군의 위용과 국민의 대군 신뢰를 높이며 장병 사기 진작에도 도움이 된다는 여론이 갈렸다. 1993년 이래 5년 주기로 열리던 시가행진은 국군의 날 행사 중 하나로, 2018년 건군 70주년에는 생략됐다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인 2023년 건군 75주년에 부활했다. 여기에 윤석열 정부는 그간의 관례를 깨고 5년 주기에 해당하는 2023년에 이어 2024년에도 시가행진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