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 영천 만불사-이 시대에 전통이란 무엇인가?](https://img.khan.co.kr/weekly/2025/04/09/news-p.v1.20250401.7bd6501c43aa4309b932c52ad3744c9f_P1.jpg)
 경북 영천 만불사-이 시대에 전통이란 무엇인가?](https://img.khan.co.kr/weekly/2025/04/09/news-p.v1.20250401.7450448dc3dd4ea4b71fe0590f3b17c4_P1.jpg)
절 안으로 들어서서야 깨달았다. 한 달 뒤가 부처님 오신 날이라는 걸. 한 달이나 남았지만, 절집은 분주했다. 머리 위로 빼곡하게 색색의 연등이 줄을 맞춰 달려 있고, 겨우내 움츠렸던 경내를 정리하고 바꾸는 공사가 한창이었다.
경북 영천의 만불사가 독특하다는 이야기를 여러 번 들었는데, 방문은 처음이었다. 절 안으로 들어서기도 전에 이곳이 다른 사찰과 매우 다르다는 걸 느낄 수 있었다. 전통의 방식을 과감하게 거부하고 이곳만의 미감으로 지어 올렸다는 게 느껴졌다. 그렇다고 손뼉을 쳐주고 싶을 만큼 완성도가 높은 건 아니었다. 중요한 건 이런 시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전통 사찰은 전통 사찰대로 오래 이어온 풍모를 가꿔야 하지만, 이 시대에 어울리는 새로운 방식에 도전하는 것도 필요하다. 우리는 어쩌면 ‘전통’이라는 단어에 갇혀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는 건 아닐까. 그림도, 건축도, 조형물도 ‘옛’이라는 글자가 붙으면 꼼짝을 못 하는 것처럼. 굴레에 갇힌 듯 예전 것만 답습할 뿐. 그런 고민을 하던 차에 만난 만불사는 신선하기까지 했다. 낯선 사찰의 모습을 한 이곳에서도 해 질 무렵이 되자 종각의 실루엣에서 전통적인 면모가 슬쩍 드러났다. 우리 시대에 전통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계승할 것인가. 저물녘 풍경에서 어쩌면, 그 답을 엿본 것은 아닐지.
<글·사진 정태겸 글 쓰고 사진 찍으며 여행하는 몽상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