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은 어떻게 생겼을까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렌즈로 본 세상] 봄은 어떻게 생겼을까

외지인이 드문 동네에 큰 카메라를 메고 돌아다니는 모습이 신기했던 주민들이 뭐하냐고 물었다. “봄을 찾으러 왔는데요. 봄이 안 보여요.”

봄을 찾으러 왔다는 말은 왠지 낭만적으로 들리기도 한다. 하지만 푸릇푸릇한 무언가를 기대하며 남쪽 땅끝까지 간 것이 무색하게 봄이 꼭꼭 숨어버렸을 때의 기분이란…. 봄은 도대체 어디 있을까? 봄은 초록색일까? 꽃일까? 햇볕일까? 봄이 어떻게 생겼을지 고민하며 지난 2월 26일부터 이틀 동안 남도를 돌아다녔다.

영 잘 몰라 보이는 기자를 도와주고 싶었던 주민들의 의견은 다양했다. “이번 주말에 비가 온다는데, 비가 오고 나면 봄이 오겠지”, “입춘이 지났으니까 봄은 봄이야”, “아직 추우니까 한 2주는 더 있어야 할 것 같은데?”, “모내기할 때는 돼야 봄이지. 아직 꽃도 하나도 안 폈어.”

꽃이 하나도 없다고 실망하는 나에게 한 주민은 말했다.

“꽃 좀 안 피면 어때? 햇볕이 이렇게 따뜻하잖아요. 이번 주에 안 폈으면 다음 주에 피겠지.”

그 말을 들으니 내가 너무 봄에 집착하며 찾아다닌 게 문제 같기도 했다. 하긴 봄은 언제와도 꼭 오기는 할 테다. 내가 찍은 사진 어딘가에 이미 봄은 숨어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정효진 기자 hoho@kyunghyang.com>

렌즈로 본 세상바로가기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