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차 간격부터 바꿔야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이효상 기자

이효상 기자

“초등학교 졸업하고 3명이 이사 갔어요. 중학교 문제 때문에.”

충남 홍성군 장곡면에 학교는 초등학교 하나만 있습니다. 이 초등학교 졸업생들은 인접한 읍·면에 있는 중학교에 다닙니다. 거리 자체가 엄청 멀다고 할 수는 없는데, 교통이 문제입니다. 버스 노선 자체가 많지 않고, 배차 간격도 깁니다. 이 지역 중학생들은 부모님 도움이 없으면 새벽같이 일어나 첫 버스를 타고 등교해야 합니다. 험난한 등하교에 10명 남짓의 졸업생 중 3명이 이사를 했다고 합니다.

지역 학생들의 등하교 문제를 작은 문제로만 볼 수 없는 이유입니다. 학교가 없다면, 등하교가 여의치 않다면 주민들은 지역을 떠날 수밖에 없습니다. 있던 사람도 떠나는 판에 새로운 이웃이 모여들기를 기대하기는 더 어렵습니다. 지금 남아 있는 학생들의 등하교 문제를 방치한다면 지역소멸은 더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이 큽니다. 지역소멸은 배차 간격을 바꾸고, 노선을 조정하는 작은 부분에서부터 해법을 찾아야 하는지도 모릅니다.

취재하면서 지역의 대중교통망이 성길 수밖에 없는 이유를 어느 정도는 알게 된 것 같습니다. 대부분 지역이 면적은 넓고 사람은 적습니다. 그렇다고 차를 아예 안 보낼 수도 없으니 노선 자체가 많습니다. 한정된 자원에 노선이 많다 보니, 자연히 노선별 배차는 적을 수밖에 없습니다. 막차 시간이 오후 6~7시로 이른 이유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빨리 끊기는 막차는 청소년들의 현실과 동떨어져 있습니다. 늦게까지 학교에 남아 있거나, 학원에 다니는 학생들은 자정을 조금 앞둔 시간에 귀가합니다. 마땅한 교통편이 없으니 지역 학생들의 선택은 기숙사 생활이나 부모님 도움, 과도한 택시비 지출 중 하나일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대체 이동수단 마련을 고심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버스회사의 반발에 부딪히는 경우가 적지 않았습니다. 아이러니한 일입니다. 버스회사의 적자 노선 보전을 위해 지자체는 수십억원을 지출하고 있는데 여전히 대중교통망은 열악하고, 이를 지자체가 다른 수단으로 보완하고자 하면 버스회사가 적자 심화를 이유로 반발합니다. 어쩌면 버스회사 운영에서 공공의 책임을 늘리는 것이 해법으로 가는 지름길이 아닐까요.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취재 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