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악기들은 연주자만큼이나 유명하다. 내가 즐겨 듣는 록 음악에도 전설이 된 기타가 여럿 있다. ‘그리니(Greeny)’란 별명을 가진 1959년제 일렉트릭 기타도 그중 하나다. 플리트우드 맥의 피터 그린과 ‘기타의 신’ 개리 무어를 거쳐 지금은 메탈리카의 커크 해밋이 소유하고 있다. 블루스 록 팬들은 그리니를 성배(聖杯)로 숭배하는데, 사실 그리니는 불량품이다.
알려진 정보를 종합하면 이렇다. 1960년대의 어느 날 피터 그린은 런던의 한 악기 수리점에 그리니의 픽업(기타 줄의 소리를 잡아 앰프로 보내는 부품) 수리를 맡겼다. 작은 마이크인 픽업은 일렉트릭 기타의 소리를 결정하는 핵심 부품이다. 문제는 수리공이 픽업 수리를 잘 몰랐다는 데 있었다.
수리공이 수리를 잘못하는 바람에 그리니의 소리는 달라져 버렸다. 픽업의 전기 신호가 어딘가 어긋난 것이다. 픽업을 뒤집어 부착해봐도 그리니의 소리는 원래대로 돌아오지 않았다고 한다. 피터 그린은 그냥 픽업을 반대로 끼운 채 그리니를 계속 사용했다.
그런데 이 불량 픽업의 소리가 너무 독특하고 아름다웠다. 고음역대가 강조되고 묘한 배음이 섞이며 그리니만의 달콤한 음색이 만들어졌다. 당대는 물론 지금도 다른 기타는 낼 수 없는 소리다. 그리니의 숨결은 개리 무어가 남긴 불후의 기타 명곡 ‘Parisienne Walkways’, 플리트우드 맥의 ‘Black Magic Woman’ 등에서 느낄 수 있다.
‘전설이 된 불량품’ 그리니의 따뜻한 음색이 가끔 위로처럼 들릴 때가 있다. 나다운 그 무엇을 원하면서도 남들과 다르지 않을까 자주 전전긍긍했다. 후배들과의 술자리에서는 ‘삶에는 정답이 없다’며 잔 부딪히고, 다음날 해가 뜨면 세상이 써놓은 정답지를 슬쩍슬쩍 훔쳐봤다. 결정적인 갈림길마다 진짜 내 안의 목소리에 충실한 선택을 했던 기억은 많지 않다.
나뿐만이 아닐 거라고 생각한다. 표준적인 삶의 경로를 따라야 한다는 압력이 큰 한국사회에서 생은 자주 퀘스트(임무)가 된다. 몇 살에는 뭘 해야 하고, 이때쯤엔 뭘 이뤄야 하고…. 물론 그런 삶이 틀렸다고는 볼 수 없을 것이다. 하지만 그 밖의 다른 삶을 ‘틀린 것’으로 만드는 사회적 압력은 분명 다른 문제다. 레벨마다 올려야 할 스킬(기술)과 능력치를 정확히 제시하는 ‘게임 캐릭터 육성법’은 한국사회에서 거대하게 재현된다. 경로 이탈의 공포는 납덩이처럼 무겁다.
‘불량품’ 그리니가 한국에서 태어난 사람이었다면 어땠을까. 자기만의 음색을 마음껏 뽐낼 수 있었을까. 불량 픽업을 서둘러 교체하거나 내내 부끄러워하며 살지 않았을까. 모난 돌은 정 맞고 못난 돌은 가라앉는 사회에서 ‘너답게 살아!’라는 말은 때로 가혹하기까지 하다.
우리는 모두 나답게 행복하고 싶어하는 존재다. 그리니는 그리니대로, 나는 나대로. 그리니처럼 ‘전설’이 되지 않더라도 그저 나대로 살아갈 수 있는 세상이 아름답다는 것을 모르는 이는 없다. 어쩌면 그곳이 지렛대의 힘점일지도 모른다. 거기서 시작해보고 싶다. 더 많이 이야기하고 싶다. 우리를 우리이지 못하게 짓누르는 것이 무엇이고, 누구인지를. 애쓰지 않아도 사랑받는 꿈을.
<조해람 기자 lennon@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