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르면 안 팔아야지요” 그 당연한 말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취재 후]“모르면 안 팔아야지요” 그 당연한 말

1990년대 중반. 가습기 살균제의 원료 물질(CMIT·MIT)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롬앤하스는 한 업체로부터 “이 물질을 가습기에 넣어도 되느냐”는 질문을 받습니다. 당시 롬앤하스에서 근무하던 A씨의 답변은 “절대 안 된다”였습니다. ‘위험성을 알았기 때문에 팔지 않은 것인지’ 묻자 A씨는 “알았기 때문이 아니라 몰랐기 때문에 판매할 수 없었다. 안전성에 대한 실험을 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했습니다.

처음엔 충격이었습니다. 다시 생각하니, 당연한 말 같았습니다. 모르면 안 팔아야지요. 그런데 왜 충격을 받았을까요. 한국 기업들이 그렇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1994년 이 물질을 이용해 최초의 가습기 살균제를 출시한 SK도, 2002년부터 같은 제품을 판매한 애경도 위험성을 알지 못한 채 제품을 팔았습니다.

굳이 수십 년 전 얘기를 꺼낸 이유는 가습기 살균제 관련 형사재판에서 SK·애경의 변호인단이 “(제품 출시) 당시의 과학기술로는 (사용 농도의) 100배, 200배로 실험을 했다 하더라도 제품의 결함을 발견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주장했기 때문입니다. 문장 하나를 반복하고 싶습니다. 모르면 안 팔아야지요.

이 말을 그냥 지나칠 수 없었던 이유가 하나 더 있습니다. 그간 법정에서 이들 변호인단은 상식에도 의문을 제기할 만큼 끊임없이 의심하는 태도로 ‘과학’을 활용했습니다. 모든 불확실성을 배제하면서 과학적 진리를 탐구하는 ‘과학의 신’이 있다면, 이들 같은 모습일까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습니다. 1·2심 형사재판 내내 변호인단은 검찰 측이 가습기 살균제의 건강 피해를 입증하기 위해 제출한 동물실험 등 연구를 집요하게 물고 늘어졌고, 그 결과 1심에선 무죄 판단을 받았습니다. 그랬던 이들이 제품 출시 전 안전성 검증에 대해서는 ‘실험을 했어도 몰랐을 것’이라며 너무나도 관대한 태도를 취하는 게 모순으로 보였습니다. 대체 왜 그때는 ‘이 제품이 안전한 제품이 맞나’라는, 반드시 해야 할 질문도 던지지 않았던 걸까요.

오는 11일 항소심 선고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출시돼, 가장 먼저 피해자들에게 고통을 줬지만, 아직도 형사책임은 지지 않고 있는 기업에 재판부는 어떤 판단을 내릴까요. ‘모르면 안 팔아야 한다’는 상식을 회복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습니다.

<이효상 기자 hslee@kyunghyang.com>

취재 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