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홍범도 장군 묘비, 40여 년 만에 찾았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1951년 세워진 독립군 홍범도 장군의 묘비. 1983~1984년 쯤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40여년 만에 실물이 확인됐다./김동우 작가 제공

1951년 세워진 독립군 홍범도 장군의 묘비. 1983~1984년 쯤 사라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40여년 만에 실물이 확인됐다./김동우 작가 제공

사라진 줄 알았던 독립운동가 홍범도 장군의 묘비가 실물로 확인됐다. 변변한 묘비도 없이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시에 묻혀 있던 홍 장군을 기념하기 위해 1951년 고려인들이 십시일반 돈을 모아 세운 최초의 묘비다. 묵직한 철로 제작한 묘비의 크기는 세로 44㎝, 가로30㎝다. 이번에 발견된 것은 전체 묘비의 앞 부분으로 한글로 ‘저명한 조선빨찌산대장 홍범도 묘’라고 쓰여 있다.

홍범도 장군 묘비는 홍 장군의 삶 만큼 곡절이 많았다. 홍 장군은 1943년 10월 25일 카자흐스탄에서 사망했다. 당시 2차 세계대전이 한창이었기 때문에 홍 장군 집 근처에 임시로 묘지를 만들었다가 종전 후 크질오르다시 중앙공동묘지로 이장했다. 하지만 이내 무덤이 꺼지는 문제가 생겼다. 이를 안타까워한 고려인들이 홍 장군 서거 8주기에 ‘홍범도장군 분묘수리위원회’를 만들고, 묘를 단장한다. 이번에 발견된 묘비는 이때 세운 것이다.

홍 장군 서거 40주기를 한 해 앞둔 1982년, 고려인들을 중심으로 묘역을 본래의 구석진 곳에서 조금 더 앞쪽으로 옮기는 이장 작업이 시작됐다. 이 과정에서 새롭게 흉상 및 추모비 등이 건립됐는데 1951년에 세웠던 묘비가 갈 곳이 없어졌다. 이를 안타까워한 당시 ‘카자흐스탄 홍범도 기념사업회’ 회장 김 레프 니콜라예비치씨가 묘비를 받아 자신의 집에 보관했다. 이후 묘비의 존재는 까맣게 잊혔다.

2000년대 이후부터 홍 장군 유해 송환 추진 등 기념사업이 활발히 진행됐고 2021년 광복절에 홍 장군 유해가 봉환돼 대전 현충원에 안장됐다. 카자흐스탄 현지 묘역에는 기념관이 세워졌다. 이 과정에서 숱한 정부 관계자, 정치인, 기자들이 카자흐스탄 현지를 찾아 홍 장군 관련 행사를 진행했다. 하지만 김 레프 씨는 “한국에서 많은 사람이 왔지만 정작 홍 장군을 기린 묘비에는 그다지 관심을 두지 않더라”고 말했다. 40여년 만에 김 레프씨를 찾아 묘비의 행방을 물은 것은 국외 독립운동사적지를 찾고, 사진으로 기록하고 있는 김동우 작가였다. 한글날이었던 지난 10월 9일 김 작가는 김 레프씨를 만나 홍 장군의 묘비를 확인했다. 김 작가는 “오래된 흑백사진으로 된 홍범도 장군의 묘비를 본 적 있는데, 거기 쓰여 있는 글귀가 너무 강렬했다. 묘비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니 정확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 없었다”며 “이 묘비가 다시 세상 빛을 보게 하면 좋겠다고 생각해서 묘비 행방에 대한 단서를 잡아갔다. 그러다 이번 카자흐스탄 크질오르다 작업에서 운명처럼 묘비를 찾게 됐다. 묵직한 묘비를 들어 올리는데 손이 떨리고 가슴이 쿵쾅거리더라”고 말했다.

사라질 뻔한 홍범도 장군 묘비를 보관한  ‘카자흐스탄 홍범도 기념사업회’ 전 회장 김 레프 니콜라예비치씨/김동우 작가 제공

사라질 뻔한 홍범도 장군 묘비를 보관한 ‘카자흐스탄 홍범도 기념사업회’ 전 회장 김 레프 니콜라예비치씨/김동우 작가 제공

홍 장군의 묘비가 발견됐지만 완전한 형태는 아니다. 홍 장군 묘비는 원래 돌로 만든 기둥 앞면과 뒷면에 각각 철재로 만든 비문을 붙였다. 묘비의 앞부분은 이번에 발견됐지만 쪼개진 뒷부분은 여전히 행방을 알 수 없다. 국내 홍범도 연구의 권위자인 반병률 한국외대 사학과 명예교수에 따르면 묘비 뒷부분에는 “조선의 자유독립을 위하여 제국주의 일본을 반대한 투쟁에 헌신한 조선 빨찌산 대장 홍범도의 일흠(이름)은 천추만대에 길이길이 전하여지리라”라는 문구가 쓰여 있다. 개인이 묘비의 앞부분을 찾아낸 만큼 국가보훈부가 관심만 둔다면 뒷부분도 반드시 찾아 온전한 형태를 볼 수 있을 것이란 기대도 나온다. 하지만 독립운동 역사를 발굴하는 것은 여전히 정부의 관심사가 아닌 것처럼 보인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민병덕 의원은 “올해 국내외 독립 유공자 묘소 단장 지원 예산은 3980만원에 불과했고, 내년은 동결됐다. 독립기념관이 국외 사적지를 조사한 것도 2021년이 마지막이었다”라며 “개인도 찾을 수 있었던 홍 장군의 묘비를 보훈부와 독립기념관이 그동안 발견 못 했다는 것은 직무 유기”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홍 장군은 정부가 주도한 이념 논쟁의 한복판에 서야 했다. 항일 운동은 했지만 공산주의자라는 것이다. 해당 논리대로면 묘비에 적힌 ‘조선빨찌산대장’ 역시 홍 장군을 왜곡하는 증거로 쓰일 수 있다. 시대·장소에 대한 이해의 부족이 만든 참사다. 반 명예교수는 “파르티잔(빨찌산)의 원뜻은 ‘자발적으로 참가한’, ‘의용병’, ‘의병’ 등으로 해석하는 것이 맞다”며 “1951년 당시 고려인들이 의병, 독립군 등을 표현할 때 자신들에게 익숙한 ‘빨찌산’이란 말로 표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만약 그들이 공산주의 등의 이념적 용어로 ‘빨찌산’을 사용할 것이었다면 ‘붉은’과 같은 수식어를 앞에 붙여 표현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대·장소에 맞게 해당 글귀를 다시 적으면 다음과 같다. ‘저명한 조선독립군대장 홍범도 묘’.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