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체공녀 연대기, 1931~2011

남화숙 지음·남관숙 옮김·후마니타스·2만원

[신간] 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1931년 5월 29일 평양 평원고무농장 노동자 강주룡은 임금 삭감에 항의해 파업을 주도하다 일제 경찰이 파업 노동자들을 해산시키자 12m 을밀대에 올라 고공농성을 벌인다. ‘체공(滯空)’. 공중에 머물러 있음을 뜻하는 단어가 강주룡이란 이름 앞에 붙은 까닭이다. 2011년 부산 한진중공업 정리해고에 항의하며 영도조선소 내 크레인 위에서 309일간 고공농성을 벌인 김진숙 전 민주노총 부산본부 지도위원의 모습과 겹친다. 그사이 1970년대엔 수많은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이 있었다.

한국의 노동사·여성사를 오래 연구해온 저자가 한 세기에 걸쳐 공장 여성 노동자들의 끈질긴 투쟁사를 쓴다. 여성 노동자들을 노동운동의 주체로서 소환한다. ‘온순한 존재’인 여성 공장 노동자들이 전투적 행동에 나서게 되는 것이 그들의 순진함과 무지를 이용한 외부세력의 조정 때문이라는, 바로 그 ‘통념’을 깨려는 시도다. 고정관념에 가려졌던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 서사와 그들의 투쟁이 한국의 근현대사 속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 풀어낸다.

영원의 전쟁

벤저민 R. 타이텔바움 지음·김정은 옮김·글항아리·1만9800원

[신간] 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이민자를 배척하고 세계화에 등 돌린, 두 지도자 뒤엔 ‘책사’라 불리는 두 사람이 있다. 트럼프 선거 캠프의 스티브 배넌과 러시아의 사상가 알렉산드르 두긴이다. 민족음악·우익운동 연구자인 저자는 두 사람을 인터뷰해 글을 썼다. 그는 민족음악을 연구하다 전통주의자들을 만났고 그들이 우익운동, 제도 권력과도 연결돼 있음을 알아챈다. 저자는 두 사람이 각자의 인생에서 전통주의를 어떻게 체계화했는지, 국가의 영원성을 어떻게 획득하려 했는지 인터뷰에서 끌어낸다. 이들을 아는 것이 현재 미국·러시아, 일부 유럽국의 극우 포퓰리즘의 실체를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 본다.

몽골제국 연대기

라시드 앗 딘 지음·김호동 옮김·사계절·2만7000원

[신간] 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중앙유라시아 연구 권위자인 김호동 서울대 명예교수가 20년에 걸쳐 번역한 <라시드 앗 딘의 집사>(5권)를 한 권으로 축약했다. <집사>는 13~14세기 몽골제국은 물론 이란, 중국, 유럽의 다양한 사료와 전승을 수집해 쓴, ‘최초의 세계사’로 불린다.

동물의 감정은 왜 중요한가

마크 베코프 지음·김민경 옮김·두시의나무·2만4000원

[신간] 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동물행동학자인 마크 베코프는 동물도 인간과 마찬가지로 다양한 감정이 있다고 말한다. 동물의 감정을 이해하도록 돕는 다양한 일화와 연구를 소개한다. 동물을 대하는 인간의 태도 변화와 책임을 촉구한다. 2007년 나온 초판에 새로운 내용을 더해 전면 개정했다.

판토미나

마거릿 캐번디시 외 지음·민은경, 최유정 옮김·문학동네·1만6000원

[신간] 여성 노동자 고공농성 투쟁사

17~18세기 영국의 정치적 격변기에 여러 영역에서 활동한 여성 작가 3명의 다섯 작품을 실었다. 연애와 결혼, 정절의 문제, 사회적 관습과의 갈등 등을 다룬다. 여성이 적극적 욕망의 주체로 등장, 기존 로맨스의 문법을 깼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향미 기자 sokhm@kyunghyang.com>

신간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