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호이어, 모나코-세계 최초의 사각형 방수 케이스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시간을 초 단위로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는 크로노그래프 시계의 역사에서 태그호이어(TAG Heuer)의 존재감은 가히 절대적이다. 창립자 에드워드 호이어가 1887년 개발한 진동기어는 현대 기계식 크로노그래프를 구성하는 핵심 부품으로 자리매김했고, 세계 최초의 비행기 및 자동차용 대시보드 크로노그래프 타임 오브 트립(1911년)과 세계 최초로 100분의 1초 단위까지 측정 가능한 포켓 스톱워치 마이크로그래프(1916년), 1000분의 1초 단위까지 측정하는 손목시계 마이크로타이머 플라잉 1000(2011년), 1만분의 5초까지 측정할 수 있는 마이크로거더(2012년) 같은 유산들은 비단 태그호이어뿐만 아니라 시계 역사에 길이 남을 이정표가 되었다. 연재 초반에 다룬 카레라에 이어 이번에는 태그호이어의 또 다른 주요 컬렉션인 모나코(Monaco)를 소개하고자 한다.

경주용 시계의 오랜 역사와 인연
태그호이어는 그 어느 브랜드보다도 모터스포츠와 오랜 인연을 자랑한다. 창립자의 4대손이자 현 태그호이어의 명예회장인 잭 호이어가 1963년 멕시코 로드 레이스에서 이름을 딴 카레라를 론칭한 이래, 태그호이어는 경주용 크로노그래프 시계 분야에서 누구도 넘볼 수 없는 역사와 풍성한 스토리를 갖게 되었다. 촌각을 다투는 포뮬러 원(F1) 경기에 참가한 드라이버들은 정확하게 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시계를 필요로 했고, 호이어(태그호이어의 전신)는 가장 앞장서서 이 분야를 개척한 선구자였던 것이다.

또한 20세기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생소하기 이를 데 없던 공식 타임키퍼 및 홍보대사 선정과 같은 마케팅적인 측면에서도 태그호이어는 남다른 선구안을 가지고 있었다. 1950년대 말에 활약한 아르헨티나 출신의 전설적인 카레이서 후안 마누엘 판지오를 홍보대사로 영입한 이래, 니키 라우다, 알랭 프로스트, 아일톤 세나, 키미 라이코넨, 페르난도 알론소, 루이스 해밀턴, 젠슨 버튼 같은 당대 최고의 레이서들이 태그호이어를 거쳐갔다. 또한 1971년부터 1979년까지 스쿠데리아 페라리 팀을 공식 후원하고, 1992년부터 2003년까지는 FIA 포뮬러 원 월드 챔피언십의 공식 타임키퍼로 활약했으며, 최근에는 보다폰 맥라렌 메르세데스 및 아우디 스포츠, 모나코 오토모빌 클럽(ACM)과 파트너십을 체결하는 등 반세기가 넘도록 한결같은 모터스포츠 사랑을 보여주었다.

세계 최초로 벨트 구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시계 모나코 V4

세계 최초로 벨트 구동 방식으로 작동하는 시계 모나코 V4

호이어 시절부터 경영자이자 디자이너이기도 했던 잭 호이어는 1969년 당시로서는 이례적으로 정사각형 케이스를 가진 모나코를 발표한다. 모나코라는 이름은 유럽 남부 지중해 연안의 한 공국에서 따온 것으로, 이곳은 F1 서킷 중 가장 아름답고 숨가쁜 레이스가 펼쳐지는 곳으로도 유명했다. 스위스 출신의 드라이버이자 호이어의 F1 그랑프리 홍보대사이기도 했던 조 쉬퍼트는 1962년부터 모나코 그랑프리에 출전했고, 이 같은 인연을 바탕으로 모나코가 컬렉션명에 도입된 것이다.

한편 1969년은 호이어, 브라이틀링, 해밀턴, 뷰렌 등이 공동 연합해 완성한 최초의 오토매틱 크로노그래프 중 하나인 칼리버 11이 완성된 기념비적인 해이기도 했다. 잭 호이어는 이 역사적인 칼리버를 일반적인 형태의 케이스가 아닌 특색 있는 디자인에 방수까지 가능한 케이스에 탑재하고 싶어했다. 하지만 원형 케이스에 비해 각진 케이스는 당시의 제조기술로는 난점이 많았다. 특히 크로노그래프 기능(스타트, 스톱, 리셋)을 작동케 할 푸시 버튼을 장착한 형태여야 했기 때문에 방수성능을 보장하기 위해선 여러 시행착오를 겪었다. 하지만 결국 모나코 특유의 정사각형 케이스는 완성되었고 이 시계는 오토매틱 크로노그래프 무브먼트를 탑재한 세계 최초의 사각형 방수시계로 기록되었다.

이렇듯 제작단계에서부터 많은 우여곡절을 통해 탄생한 모나코는 뜻밖에도 한 영화와 스타를 통해서 손목시계 역사상 불멸의 아이콘으로 비상하게 된다. 지금껏 연재를 통해 수많은 브랜드의 대표 컬렉션을 소개한 바 있지만, 모나코처럼 빠르게 전설적인 시계로 급부상한 예는 많지 않다. 이 드라마틱한 배경에는 1960~70년대를 주름잡은 미국의 스타 배우 스티브 맥퀸이 버티고 있다. 1970년 그가 포르쉐 917k를 모는 카레이서로 분한 영화 <르망>에서 맥퀸은 모나코를 착용했다. 커다란 사이즈의 사각형 케이스가 한눈에도 사람들의 시선을 사로잡았으며, 블루 다이얼 바탕 위에 화이트 색상의 분 카운터가 대비를 이룬 가운데 레드 포인트의 크로노그래프 핸드까지 어우러져 스포티한 느낌을 물씬 풍기는 시계였다. 누가 봐도 이 시계는 당시 출시된 여느 시계들과 확연히 달랐고, 극중 레이서인 맥퀸의 남성적인 매력까지 더해져 한층 더 강한 인상을 남겼던 것이다.

맥퀸이 모나코를 착용하게 된 계기 또한 흥미롭다. 그는 영화 출연을 위해 레이서로서 갖춰야 할 각종 기술들을 실제 F1 드라이버였던 조 쉬퍼트로부터 전수받았다. 이 과정에서 두 사람은 이내 막역한 친구가 되었고 당시 호이어의 홍보대사로 활동하던 쉬퍼트의 권유로 맥퀸이 모나코를 착용한 것이다. 평소 시계에도 관심이 많았던 맥퀸은 이내 모나코의 매력에 빠져들었고, 그의 열연과 영화의 세계적인 흥행에 힘입어 모나코 역시 덩달아 젊은 남성들 사이서 선풍적인 인기를 얻게 됐다. 지금에야 영화나 드라마 등을 통한 이른바 간접광고(PPL)가 당연시되고 있지만, 1970년대만 하더라도 이러한 개념조차 없던 시절이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스티브 맥퀸이 모나코를 착용하면서 태그호이어로서는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엄청난 광고효과를 얻게 된 셈이다.

1969년 오리지널 모델을 충실히 계승한 현행 모나코 칼리버 12 오토매틱 크로노그래프

1969년 오리지널 모델을 충실히 계승한 현행 모나코 칼리버 12 오토매틱 크로노그래프

스티브 맥퀸이 영화서 착용 이후 선풍적 인기
하지만 모나코는 첫 양산형 기계식 자동 크로노그래프라는 상징성 때문인지 그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쿼츠 시계가 업계의 주류로 자리 잡은 198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는 제조수량이 눈에 띄게 줄어들게 된다. 원형 케이스의 카레라나 아쿠아레이서, 링크 같은 컬렉션이 쿼츠식과 기계식이 적절하게 배분되며 인기를 이어갔던 것과 비교하면 더욱 극명해진다. 모나코 케이스를 좀 더 둥글게 다듬은 형태의 실버스톤이나 몬자 같은 컬렉션이 새롭게 부각되기도 했지만 모나코만큼의 파급력은 없었다.

잠잠하던 모나코 컬렉션이 다시 뜨겁게 달아오르기 시작한 건 2000년대 초반부터이다. 태그호이어는 2004년 기계식 손목시계 역사상 처음으로 벨트 구동 방식의 파격적인 시계 모나코 V4를 공개한다. 이 시계는 당시 판매용이 아닌 콘셉트 워치였음에도 시계업계에 적잖은 파장을 불러왔다. 벨트 구동 방식이란 자동차의 엔진과도 같은 4개의 배럴이 서로 벨트에 의해 연결돼 있고 가운데 축이 되는 바 형태의 텅스턴 소재 잉곳이 마치 피스톤 운동을 하듯 위 아래로 움직이며 배럴에 동력을 공급하는 방식으로, 그 형태 면에서나 기능적으로나 혁신적인 시계였다. 이후 모나코 V4는 꾸준히 작동 안정성이 개선되어 2009년 비로소 상용화 모델로 판매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올해 바젤월드에서는 모나코 V4 출시 10주년을 맞아 모나코 V4 투르비용을 선보인다. 그 이름에서 유추할 수 있듯 이 시계는 기존 모나코 V4의 투르비용 버전으로 한층 더 카리스마 넘치는 디자인과 정확성을 가진 시계로 거듭났다.

모나코는 카레라와 함께 태그호이어를 대표하는 양대 기둥이자 손목시계 역사에 길이 남을 클래식이다. 스티브 맥퀸과 영화 <르망>을 통해 단숨에 컬트적인 시계 반열에 올랐지만, 그 선풍적인 인기 뒤에는 모나코만의 뛰어난 완성도와 개성 있는 디자인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한 시대를 대표하는 아이코닉한 시계는 이렇듯 운명적으로 탄생한다.

<장세훈 타임포럼 시계 칼럼니스트>

시계, 전설의 명기를 찾아서바로가기

이미지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오늘을 생각한다
아동학대, 나아진 게 없다
지난 6월 10일 경기 수원시청 앞에서 수원시 장안구의 한 민간어린이집에서 벌어진 집단 아동학대 관련 기자회견을 했다. 비슷한 사건을 접할 때마다 가해자들의 범죄행위에 치를 떨면서, 피해 아동 보호자들이 지친 마음과 몸을 이끌고 기자회견을 하게 만드는 망가진 시스템에 분노한다. 만 2세 반 어린이 13명에게 2명의 교사가 상습 폭력을 가했다. 경찰이 확보한 35일 치 CCTV에서 350건의 학대 행위가 발견됐고, 가해 교사 2명과 원장이 상습 아동학대와 방조 혐의로 검찰에 송치됐다. 그러나 피해 가족들은 가만히 있을 수 없었다. 원장은 아무런 행정 처분 없이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고, 가해 교사 2명은 자진 사직했기에 자격정지 등 처분을 받았는지 알 수 없다. 수원시는 할 수 있는 행정 조치는 다 했다며, 재판 결과를 기다릴 수밖에 없다고 했다. 피해 가족들은 수원시 행태가 마치 2차 가해처럼 느껴진다고 했다. 아동들은 여전히 불안과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 자다가 몇 번씩 잠에서 깨는 한 어린이는 “꿀향기반 선생님들이 자기를 데리러 올까봐 무섭다”고 했다. 다른 어린이는 작은 소리에도 몸을 움찔하고,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지난 1월 CCTV 영상을 확인하고 경찰 신고, 언론 보도가 이어졌지만 5개월 동안 가족들의 삶은 하루도 편하지 않았다. 만 2세 어린 아기들을 밀치고, 넘어뜨리고, 머리채를 끌어당기고, 냅다 던져버리는 영상을 보며 엄마·아빠들의 마음은 지옥으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