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문재인 대통령 강성 지지자들의 ‘문자폭탄’ 행위에 대해 한 말이다. 김 의원은 4월 28일 KBS 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서 “(문자를 보내는 이들은)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시하는 지지자들이라고 생각한다”며 “민주주의 사회에서 그런 적극적인 의사표시는 권장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당원 의견을) 청취할 수 있는 소통 통로가 없고, 통로가 끊겨 있기 때문에 (당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게 문자”라고 덧붙였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 김정근 기자
앞서 조응천 민주당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여러분이 문자행동(문자폭탄)을 할수록 재집권의 꿈은 멀어져 간다”며 “문파가 전 국민의 과반 이상이라면 문파의 뜻을 따르는 것이 바로 국정 운영이고 선거전략이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다수의 뜻을 살피는 것이 선거에서 이기는 방법 아니냐”며 문자폭탄 행태를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민주당 원내대표 선거에 출마한 박완주 의원도 문자폭탄을 두고 비판의 목소리를 낸 바 있다. 박 의원은 지난 4월 15일 라디오 인터뷰에서 “(강성 지지자 의견이) 과대평가를 받는, 마치 이게 당심 전체인 양 비쳐서 언론이나 국민에게 표현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김 의원의 ‘문자폭탄 권장’ 발언을 두고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자신의 SNS에 “잘하고 있다”며 “국민의힘은 얘(김용민 의원)만 믿고 가면 된다”고 비꼬았다.
<반기웅 기자 ban@kyunghya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