加 교포들 피서 "과수원으로 가요"
  • 인쇄
  • |
  • 목록
  • |
  • 복사하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밴드

캐나다도 한국과 마찬가지로 여름휴가와 방학이면 산이나 바다로 떠나는 차량으로 도로가 가득 찬다. 밴쿠버의 한국 교포도 휴가철이면 농촌을 찾아 떠나는 가정이 적지 않다. 원시림이 잘 보존되어 곰이나 사슴은 물론 동물원에나 있을 법한 쿠거와 너구리 등 야생동물이 자주 등장하는 공원이 생활 거주공간에서 멀지 않은 곳에 많다고 해도, 수확의 기쁨을 느낄 수 있는 시골에서의 여름나기에는 비할 수가 없는 모양이다. 그래서 체리 수확이 시작되는 7월이면 이른 아침부터 가까운 농작물 산지를 찾아나서는 가정이 많다.

[월드리포트]加 교포들 피서 "과수원으로 가요"

과일값 폭락시기 관광상품으로 개발

밴쿠버에서 5시간을 차로 달려 도착한 오캐나겐에서 오소유스 방향으로 2~3㎞만 더 가면 'U-Pick(직접 따가세요)'이라는 표지판을 많이 볼 수 있다. 제철 과일을 싼 값에 구입할 수도 있고 도회지에서는 경험할 수 없는 과일을 수확하는 색다른 즐거움을 맛볼 수도 있는 과수원이다.

이 지역 과수원이 고객에게 직접 과일을 수확하도록 하는 이유는 이 시기쯤이면 제철 과일이 한꺼번에 시장에 쏟아져나와 인건비를 건질 수 없을 정도로 과일 값이 많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수확 시기를 놓친 과일은 결국 가축 사료로 사용될 뿐이어서 이 시기 과수원은 도회지 행락객이 직접 거둬들이도록 하는 관광상품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도회지 소비자에게 큰 인기를 끌었던 것. 거둬들이지 못한 채 과일이 버려지는 것을 막고 수확하지 못한 나무에서 이듬해 소출이 떨어지는 것도 피할 수 있게 된 농가로서는 일석이조의 이득을 얻을 수 있는 길을 개척한 셈이다.

신선한 과일을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것에 크게 만족한 도시민의 발길이 7월 체리 수확을 시작으로 10월까지 복숭아-사과-포도 수확을 위해 끊이지 않으면서 오캐나겐은 단순한 농촌 마을이 아닌 관광마을로 탈바꿈하는 데 성공했다. 와인축제와 열기구축제 등 다양한 볼거리가 이어지는 것도 관광객을 끌어들이는 요인이다.

연평균 소득 20만달러가 넘는 부농이 캐나다에 많은 것은 국가 차원의 농가지원책 덕도 있지만 천혜의 자연조건을 관광상품으로 개발하는 데 성공한 지역 주민의 힘도 크다. 농산물 수입 개방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리 농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밴쿠버/강영준 통신원 landfirst@hotmail.com


월드리포트바로가기

주간경향 댓글 정책에 따라
이 기사에서는 댓글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미지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오늘을 생각한다
탄핵 이후 준비해야 할 것들
밤새 뒤척인다. 겨우내 마음 편히 잠을 자지 못해 머리에 스모그가 낀 듯 무겁다. 창밖을 보니 눈이 내린다. 이상기온이 일상이 돼간다. 기후변화의 징후인 3월 중순 눈 쌓인 풍경은 더 이상 아름답지 않고 불길하다. 자연 시스템의 불안정성만큼이나 정치와 사법 시스템 또한 아슬아슬하다. 헌법재판소의 판결을 둘러싼 사회적 긴장은 한국 민주주의가 직면한 불안정성을 드러낸다. 일만 년간 이어온 기후 안정성과 40여 년이 채 안 된 한국의 민주주의는 기간으로는 비할 데 아니지만, 우리 삶에 당연히 주어지는 조건으로 여겨졌던 점은 흡사하다. 이번 겨울 기후환경이든 정치체제든,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온 것들이 얼마나 쉽게 흔들릴 수 있는지 여실히 드러났다. 기후위기와 정치위기라는 무관해 보이는 두 위기는 사실 그 원인 면에서도 맞닿아 있는데, 효율과 성과가 최우선시되는 과정에서 다른 중요한 가치는 간과했다는 점이다. 한국사회는 산업화하는 과정에서 빠르게 성장하는 법을 배웠지만, 화석 연료 중심의 에너지 구조를 전환하는 데 게을렀고, 정치적 다양성과 세대 간의 이해를 구현하지 못했다. 우리는 경쟁을 통해 눈부신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는 그러한 방식의 성장이 우리 사회를 갉아먹고 있다.